여야의 선거법 협상이 연내 타결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여야는 28일에도 3당 총무회담등 다각적인 채널을 가동, 선거구제 협상을 계속했으나 자민련이 요구하는 도농복합선거구제를 놓고 의견접근을 이루지 못했다.
따라서 여권의 연내 매듭의지에도 불구하고 선거법 협상은 새해로 넘어갈 공산이 커졌으며, 현행 선거법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나라당 이회창총재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해를 넘겨‘연초 여야 총재회담’을 제의한 것이나 이부영총무가 27일 30일로 예정된 제209회 임시국회 회기를 다음달 19일까지 연기하자고 요구한 것도 이같은 가능성을 짙게 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현재 한나라당이 제시한 ‘정당명부제+œ’에 대해 호감을 표시하면서도 공동여당의 한축인 자민련의 눈치를 살피고 있다.
이날 이만섭총재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고위당직자회의에서도 ‘선거법 합의처리’라는 기존입장만을 재확인하는등 뾰족한 수를 찾지 못했다.
국민회의 한 관계자는 “자민련은 복합선거구제 관철을 주장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수용불가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현재로선 마땅한 해법이 없다”며 선거법 협상이 새해로 넘어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선거법이 조만간 타결되지 않으면 현행 법대로 가는게 아니냐”고 말해, 자칫 선거법이 ‘개혁대상’에서 제외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자민련 역시 박태준총재 주재로 당5역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었으나, ‘복합선거구제 관철’당론을 고수키로 의견을 모았다.
영남권 의원들의 강력한 지지를 업고 복합선거구제를 추진중이기는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우당인 국민회의측이 어정쩡한 태도에 내심 불만을 가지고 있다.
전날 국민회의측에 복합선거구제로의 당론변경을 요구한 것도 이를 잘 드러내는 대목이다.
그러나 자민련 한 고위관계자는“복합선거구제가 마지노선”이라고 배수진을 치면서도“선거구제가 연내에 매듭되지 않으면 현행법으로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혀, 소선거구제로의 방향선회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여야가 입장차이를 빌미로 선거법 처리를 마냥 끌고 있는 것이 현행 선거법을 그대로 유지, 내년 총선에서 의원수 감축등 ‘제살깍기’를 피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