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총재의 총재회담 제의배경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28일 신년 여야총재회담을 제의하고 나선 것은 교착상태에 빠진 선거법 협상 등에 대한 국민의 비난여론을 비켜가고 신년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다목적 카드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최소한 여야 영수가 만나 국민을 안심시키고희망을 줄 수 있는 새 출발의 진솔한 다짐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뉴밀레니엄 총재회담의 명분을 제시했다.

이 총재는 당초 모든 것을 털어내는 총재회담을 생각했으나, 선거법 협상과 ‘언론문건’ 국정조사에 대한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만큼 회담을 새해로 넘겨 정국현안보다는 큰 틀에서 정치적 비전을 제시하자는 운을 띄운 셈이다.

하지만 그동안 총재회담 개최를 위해서는 선거법 협상 등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전제조건을 달았던 이 총재의 조건없는 총재회담 제의는 섞연치 않은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이를 테면 어차피 정국현안의 연내 타결이 어렵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총재회담을 연말에 열지 못할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 굳이 연초에 열겠다는 점이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선거법 협상 등 정국현안을 미해결 상태로 남겨놓고 총재회담을 개최함으로써 새출발의 의지를 갖고 있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부담을 안겨주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인 것이다.

즉 시기적으로 연말에 ‘좋은 것이 좋다’는 식으로 선거법 협상 등에 대한 정치적 해결을 모색하는 것보다 새해에 여권을 압박하는 것이 한나라당의 입장을 관철시키는데 좀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또 이 총재가 신년 총재회담의 의제로 대통령의 당적이탈, 검찰과 국가정보원의 제자리 찾기, 국회의 위상제고, 여야의 정치관계 설정 등을 예로 든 것은 다분히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둔 측면이 강해 보인다.

이 총재는 “총재회담이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이런 내용들이 의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밝힌 점을 감안할 때 총재회담 자리를 ‘듣기’보다는 뭔가를 말하려는 장으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이 총재는 국민을 생각하는 야당 총재의 이미지 제고와 내년 총선을 겨냥한 대통령의 중립성 확보 등 명분과 실리를 두루 챙기기 위해 총재회담의 시기를 내년으로 넘겨 제의하는 ‘선수’를 친 것으로 관측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