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여당 합당무산 총선발걸음 분주

공동여당간 합당이 물건너 가자 여야 모두 ‘이제 남은 건 총선뿐’이라는 생각으로 본격적인 총선준비에 나섰다.

특히 2여간 ‘합당무산’으로 내년 4·13총선이 사상초유의 ‘2여1야’구도로 총선을 치르게 되자 여야는 지금까지의 전략을 수정, 총선승리를 위한 발걸음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국민회의는 23일 공동여당이 독자적으로 총선을 치른다는 입장에 발맞춰 내달 19일 당무회의에서 새천년 민주신당과의 통합을 결의, 20일 신당창당과 함께 국민회의가 신당에 흡수되는 통합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민주신당 창당준비위도 이날 64개 사고지구당 및 미창당지구당에 대한 조직책 공모에 나선데 이어 창당계획서를 발표하는등 창당작업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특히 4·13총선에서 자민련과 공조하더라도 전반적인 연합공천은 사실상 어렵다고 판단, 지난해 6·4지방선거때와는 달리 극히 제한된 범위의 연합공천을 고려하고 있다.

중앙당 차원에서 지역별 공천지분의 사전결정을 배제하고, 각각의 선거구 상황과 양당간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철저히 ‘당선위주’의 연합공천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자민련은 합당문제가 확실히 매듭지어진 만큼 공동여당이 총선승리를 위해서는 튼튼한 공조를 통한 ‘연합공천’밖에 없다며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

호남, 충청등 양당의 텃밭지역에 대해서는 상호 인정하되 수도권과 영남권등 여타지역에 대해서는 5대5의 공천비율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수도권의 경우 이같은 원칙보다는 ‘당선가능성’을 고려, 조율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회의측이 연합공천에 대해 다소 소극적이어서 향후 2여간 어떤 합의를 도출해낼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자민련은 내년 1월중순 김종필총리의 당복귀 시점에 맞춰 한나라당 이한동의원등 보수세력의 영입작업을 통한 ‘신보수대연합’을 가시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여권이 합당문제로 인해 때늦은 총선준비에 나선 것과 달리 한나라당은 이미 지난 10일 ‘16대총선기획단’을 발족시켰으며, 이번주부터 36개 사고지구당 정비작업에도 착수했다.

특히 이번 총선이 기성 정치권에 대한 국민불신으로 인해 어느때보따도 ‘인물중심’의 선거가 될 것이라고 판단, 이회창총재는 외부인사 영입작업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모자이크 정당인 한나라당이 외부인사 영입이나 공천과정에서 불거져나올 계파간 갈등을 어떻게 잠재우느냐도 당지도부가 총선을 앞두고 신경을 곤두세우는 부분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