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교 1년생들이 대학에 입학하는 2002학년도부터는 특정 학과나 학부를 선택하지 않고 대학부터 들어간 뒤 1∼2학년을 마치고 전공을 선택하는 ‘선 대학입학 후 전공선택’제도가 도입된다.
김덕중 교육부장관은 22일 농협경기지역본부에서 열린 ‘12월 기우회’에서 교육개혁에 관한 특강을 통해 “사교육비를 없애는 것은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지식산업육성을 위해서는 철저한 학사관리를 통해 기초는 대학에서, 전문은 대학원에서 하는 교육체계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를 위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대학 정원 및 등록금 결정의 자율권을 부여했고 내년부터 교과서를 새롭게 해 보충수업을 받지 않고도 대학에 들어가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2002학년도에는 지금처럼 국문과 등 특정학과를 선택해서 대학입시를 치르도록 하지 않고 일단 대학에 입학한 후 1∼2학년을 마친 뒤 전공을 선택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수학생들이 의과대학이나 법과대학으로 몰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라고 지적하며 대학교수들과 교권을 놓고 일부 마찰의 우려가 있으나 내년 4월 이후 ‘선(先) 대학입학 후(後) 전공선택’계획 등을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교사 재교육제도를 강화, 능력없는 교사는 퇴출되거나 재교육을 받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교장이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에서의 재교육프로그램도 강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내년안에 대학교수의 업적평가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궁극적으로 교수도 연봉제나 계약제로 나가도록 해야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학생들이 강의를 평가하는 교수평가제도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교육제도의 근본틀이 바꿔질 것이며 이미 준비는 다 돼 있는 상태”라며“교육부장관이 바뀌더라도 큰 방향을 틀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해 이같은 계획을 강력히 실천할 뜻을 내비쳤다.
한편 인천교대 경기캠퍼스 설립과 관련 김 장관은 수도권의 대학정원 증원은 국가정책에 위배된다며 건설교통부에서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개정한다면 고려해 보겠다고 밝혀 사실상 경기캠퍼스 설립을 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