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외환위기 극복 공식선언

외환위기 극복을 공식 선언한 김대중 대통령은 3일 ‘IMF 2년’ 국제포럼의 개막연설에서 잔여임기 3년 동안 이룩할 경제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취임초 ‘1년반 이내의 외환위기 극복’ 약속에 이어 제2의 약속을 국민에게 제시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생산적 복지 등 3대 국정이념을 중심축으로 개혁을 꾸준히 추진해 나가면 우리 경제는 자신의 임기가 끝나는 2003년에는 세계 일류국가의 대열에 들어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첫째 흔들림없는 개혁을 지속하면 앞으로 매년 6%대의 경제성장이 가능하며, IMF 국가부도 사태로 98년 6천800달러까지 후퇴했던 1인당 국민소득이 2000년에는 IMF이전 수준인 1만달러로 회복되는데 이어 임기가 끝나는 2003년에는 1만3천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는 약속이다.

둘째는 실업문제다. 김 대통령은 한때 10%에 육박했던 실업률이 향후 4년간 20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면서 2003년에는 3%대로 낮아져 사실상 완전고용을 실현하게 될 것이라며 경제 재도약의 자신감을 보였다.

김 대통령은 아울러 기업의 수출경쟁력이 높아져 국제수지의 흑자기조가 정착됨으로써 세계에서 몇 안되는 순채권국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한층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기호 청와대경제수석도 “일본, 스위스, 벨기에, 이탈리아, 바레인, 스와질란드에 이어 한국이 전세계 192개국중 7번째 순채권 국가로 부상할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통령은 아울러 경제성장의 새로운 원천으로 지식.정보화사회에 대비한 네트워크 경제의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2002년까지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완성해 정보화시대에 걸맞는 사이버경제 체제기반을 마련하고 ‘1인 1PC’사회를 구현한다는 것이다.

김 대통령은 정부도 전자방식을 통한 민원처리 및 결재를 실시하는 전자정부로 탈바꿈하고 공공조달부문에서 전자상거래를 추진하는 등 10대 지식정보국가로의 발전을 적극 유도할 것임을 밝혀 민간부문의 발전을 적극 뒷받침하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볼수있다. /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