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3일부터 3당3역회의를 가동, 선거구제에 대한 협상에 본격 착수키로 한 가운데 국민회의와 한나라당은 절충안인 ‘소선거구제+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의견을 접근시키고 비례대표제의 단위 및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의석비율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절충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절충안은 국민회의가 중선거구제 주장을 철회하는 대신, 한나라당은 ‘소선거구제+전국구’라는 현행틀을 유지하되 전국구 의석 배분 방식을 현재와 같이 의석비율이 아니라 정당 득표비율에 따르는, 사실상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함으로써 마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중선거구제를 주장해온 자민련 박태준(朴泰俊) 총재는 2일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내외 소선거구제론자들을 비난하면서도 “(중선거구제 주장을)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고 말해 현실적으로 소선거구제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비쳤다.
여권의 한 핵심관계자는 여야간 절충안에 대해 “‘중선거구제+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와 ‘소선거구제+전국구’로 여야의 입장이 엇갈린 상태에서 그동안 물밑접촉을 통해 일단 ‘소선거구제+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로 의견 접근을 보았다”면서 “앞으로협상에선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채택에 따른 1인2표제의 도입여부 및 지역구와 비례대표제의 의석비율 등에 대한 본격적인 절충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 비율과 관련, “국민회의는 일단 180대 90석으로 상정하고 당 차원에서 구체적인 지역구 조정 실무 작업에 착수했으며, 한나라당도 비례대표 의석을 현행 전국구 46석에서 55석까지 늘릴 수 있다는 입장을 국민회의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