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총리 연말 당복귀방침 배경에 관심

김종필총리의 연말 자민련 복귀 방침이 알려지자 이에 대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현재 ‘옷로비의혹사건’과 ‘언론대책문건’등으로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 정국전환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비쳐진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부수적 효과라고 바라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김총리가 당초 1월말로 예정했던 당복귀 시기를 한달정도 앞당긴 것은 다름아닌 ‘총선용 포석’이라는 것.

총리실 관계자들도 “김총리의 조기 당복귀 결정은 내년 4월 총선일정을 고려할때 1월말은 너무 늦다는 판단을 한 것이 아니겠느냐”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 7월‘내각제 개헌유보’이후 충청권 지역에서조차 자민련의 지지율이 바닥을 기었다는 점에서 하루빨리 자민련의 전열을 정비, 총선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는 것이다.

특히 이념과 노선이 다른 국민회의와의 ‘합당’문제가 계속 불거지거나 이로 인해 당의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할 경우 내년 총선에서 ‘필패’할 수 밖에 없다는 위기감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자민련의 텃밭인 충청지역과 경북지역에서 국민회의와의‘합당설’로 인해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다고 판단, 이같은 ‘개연성’을 끊겠다는 의지로도 풀이된다.

이미 신당창당준비에 돌입한 국민회의가 내년 총선에서 2여1야의 구도가 여권에게 불리할 것이라고 보고 합당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총리실 관계자도 “적어도 김총리는 공천등 내년 총선과 관련한 계획을 확정해 놓은 상태일 것”이라면서 “따라서 사실상 2여 합당은 어려운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실제로 김총리가 그동안 자민련의 독자성을 강조한 점이나 한나라당 이한동전부총재등 보수인사들과 꾸준한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합당’보다는 자민련의 독자행보 또는 ‘보수신당’에 더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비쳐진다.

김총리의 당복귀 이후 ‘보수세력결집’을 기치로 내걸고 정치권, 학계등 광범위한 보수세력 규합작업에 착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편 김총리의 조기 당복귀 방침으로 후임 총리에 누가 선임될지도 공동여당간 남은 과제로 남게 됐으며, 다음달 25일 전후 대폭적인 개각으로 난맥정국을 타개할 전환점을 만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