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부당한 사례를 시정키 위해 운영하고 있는 생활불편 모니터제가 특정분야에 편중된 운영과 요원들의 인식함양을 위한 교육부재로 신고건수가 극히 미비하는 등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29일 도가 경기도의회 행정자치위 김영근·이준영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도가 선정해 운영하고 있는 생활불편 모니터요원은 1천1명이나 이들이 올 10월까지 제보한 주민불편 사항은 1천228건으로 1인당 1.2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이들중 일부는 전혀 제보를 하지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제보내용을 보면 건설도시분야가 405건으로 전체 제보의 35.4%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여성정책분야 15건(1.2%), 경제투자 28건(2.2%), 문화관광 21건 (1.6%), 보건복지 24건(1.9%), 환경 59건(4.6%), 자치행정 77건(6.0%) 등으로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이같이 생활불편 모니터제도가 제구실을 못하는 것은 행정기관이 요원을 선발하고도 모니터 요령을 제대로 교육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의원은 “생활불편 모니터제는 도정을 이끌어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행정기관이 이들에 대한 피드 백을 실시치 않고 있다”며 “다양한 주민불편 해소를 위해 조속히 이들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권두현 자치행정국장은 답변을 통해 “모니터 요원의 정예화를 추진하고 시민단체들의 참여방안도 마련해 주민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