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채널 가동 정국정상화 방안 모색

여야는 29일 청와대 한광옥 비서실장과 남궁 진 정무수석의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예방 및 3당 총무접촉을 비롯해 다각적인 대화를 갖고 정국 정상화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한 총장과 남궁 수석의 예방을 계기로 양측은 당대당 대화 외에 청와대와 한나라당 간에 다각적인 대화채널을 가동하는 문제와 여야총재회담 개최방안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면담에서 한 실장은 “여야가 국정동반자로서 국정을 원활히 풀어나갔으면좋겠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뜻을 전달했으며, 이 총재는 “여야간엔 무엇보다 신뢰관계 형성이 중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맹형규 한나라당 총재비서실장이 전했다.

국민회의 박상천, 자민련 이긍규, 한나라당 이부영 총무도 이날 오전 회담을 갖고, 선거구제, 정당명부제, 의원정수 축소 등 선거법 미합의 쟁점을 집중 논의하고 국회 정치개혁특위 활동시한(30일)을 3-4일 연장하는데 의견을 접근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 총무는 또 국회 언론대책 문건 진상조사특위의 조속한 가동을 위해 우선 조사계획서를 본회의에서 처리한 뒤 여야간 쟁점인 증인선정 문제를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

여야는 특히 새해 예산안 및 방송법 등과 준비일정이 촉박한 선거법 등 정치개혁 입법을 여야총재회담 등을 통해 일괄타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여야는 국회 정치개혁특위의 공개협상외에 물밑접촉을 통해 ‘소선구제+정당명부제’와 ‘복합선거구제+정당명부제’ 등 대안을 놓고 이견을 집중 절충중이라고 여권 관계자들은 전했다.

여권은 이와함께 원외의 여야간 정쟁 소지를 조속히 제거함으로써 정국 정상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사직동팀 조사보고서의 ‘은폐.축소’, 신동아그룹의 로비의혹 등 각종 옷로비 의혹들은 검찰을 통해 신속하고 철저한 진상규명 작업을 벌일 것이라고 한 고위관계자가 밝혔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신동아측의 ‘권력형 비리’ 의혹 조사에 대한 특별검사의 수사범위 확대와 수사기간 연장 등 특검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고, 국민회의는 ‘옷사건‘을 ‘실패한 로비’로 규정하고 ‘은폐.축소’ 보고 의혹에 대한 검찰의 수사상황을 지켜보자는 입장이어서 여야간 대화모색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