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험 전형 대입제도 현실성 결여

2002년부터 시행되는 무시험 전형의 대학입시제도에 대해 교사들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현실성이 결여돼 심각한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경기도의회 문교위 강득구의원(국·안양)이 도내 5개 시 16개 학교 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비전 2002 개선안에 대한 교사의 의식조사’결과 밝혀졌다.

무시험 전형의 대학입시제도에 대해 매우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교사는 3.2%에 불과한 반면 66.1%의 교사는 바람직한 방향이지만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22.1%는 그저 그렇다, 5.3%는 잘못된 방향이라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학급당 학생수, 교사의 수업시간, 학교의 정보화 등 현실적으로 학교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정부가 정책결정과정에서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교사들의 34.7%는 준비부족으로 인한 학생·학부모·교사들의 심각한 혼란이 일 것으로 전망했고 24.5%의 교사들은 주관적 심사기준에 의한 부작용, 11.3%의 교사는 신뢰성 결여로 인한 학교내 갈등 등을 우려했다.

또 현재 무시험 전형의 대학입시제도에 따른 일선 학교의 준비상황에 대해서는 55.3%가 제도개선안이 불명확해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고 밝힌 반면 33%의 교사만이 그런대로 준비가 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47.3%의 교사들은 이같은 무시험 전형으로 인해 사교육비의 부담이 현재보다 가중될 것으로 분석했으며 34.7%의 교사도 현재와 별차이 없을 것으로 응답해 무시험전형의 입시제도가 시행되더라도 입시제도 개선의 목적인 사교육비 감축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교사들은 무시험 전형의 대학입학제도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 선행돼야할 문제로는 정책의 안전성(29.8%), 초등교육의 내실화(25.7%), 학교수용 여건의 개선(14.9%), 제도의 공정성(11.9%) 등을 꼽았다./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