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경전철사업 대부분 백지화

외국인 투자업체까지 선정했던 용인경전철이 민간투자대상사업 재지정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알려져 사업추진이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등 그동안 경기도내에서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수원·김포 등의 경전철 사업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23일 “용인경전철의 경우 건설교통부 민간투자지원센터에서 민간투자대상사업 재지정을 심의하고 있지만 순환형이 아니고 수익성이나 타당성이 없다는 이유로 지정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용인경전철은 신갈∼용인∼포곡면 에버랜드를 잇는 21.3㎞로 사업비만 6천66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며 지난 3월 10일 네데란드 암스테르담에 소재한 SOC(사회간접자본시설) 전문개발업체인 A사와 프랑스 SOC건설사업자가 컨소시엄을 구성, 5억달러의 투자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었다.

그러나 건교부의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 제외에다 최근 외국인투자업체가 현지확인 결과 사업타당성이 없다는 이유로 투자를 포기함에 따라 용인경전철 사업은 재정확충방안이 없어 사실상 백지화됐다.

또 수원시가 지난 94년 건설하기로 발표했던 경전철 사업은 재원확충방안과 분당선의 사업 불투명, 사업타당성 부족 등의 이유로 사실상 백지화했고 김포시도 인천 강서구에서 북변지구까지 연결할 예정인 경전철 사업을 수익성, 타당성 부족으로 유보하고 있지만 실현가능성이 적다는 게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부천시는 소사동∼고잔동 11.5㎞의 경전철을 4천261억원을 들여 건설하기로 하고 지난 96년 건설교통부에 도시기본계획승인을 요청했지만 건교부가 사업타당성이 없다며 반려했었다.

시는 이에 따라 최근 서울시의 교통중기계획에 포함시켜 종점점을 고잔동에서 화곡동까지 2.5㎞를 연장하는 사업을 추진중이지만 민자나 외자유치계획이 없어 지자체의 재정으로는 추진자체가 불투명한 상태다.

도 관계자는 “수원, 김포, 부천의 경전철 사업은 백지화됐고 용인경전철도 민자대상사업에서 제외되면 백지화할 수 밖에 없다”며 “특히 최근 상일역으로 기점이 확정된 하남경전철도 수익성이 불투명,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