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선 시·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문요원들 중 대부분이 고유업무보다는 통·반업무, 방역, 공공근로사업 등에 종사하는 한편 복지정책 수립에 관여하지 못해 현 정부의 복지정책 업무에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22일 경기도의회 국민회의 김장훈의원(안산)과 김주삼의원(군포)이 지난 4일부터 13일까지 도내 일선 시·군의 사회복지전문요원 8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밝혀졌다.
설문조사 결과 이들 사회복지전문요원들 중 74명(86%)이 9시간 이상을 근무하고 있으나 고유 업무 종사시간은 6시간 미만이 35명(40.8%)으로 나머지 시간은 통·반업무, 보건·위생·방역업무, 각종 행사 동원업무, 공공근로사업 추진 업무를 보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상급직원이나 상부기관으로 부터 부당한 업무협조 요청을 받거나(50명, 58%), ′ 말할수 없다′가 10명(12%)으로 응답자 중 60명(70%)이 사회복지에 대한 전문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73명(85%)이 지역의 복지정책 수립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나 정책수립과정에 참여하거나 참여 요청을 받은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13명(15%)에 불과해 복지정책이 일반 행정직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이들은 사회복지전문요원에 대한 정책이 ′과거 정부에 비해 부족하다′(45명, 52%), ′그저 그렇다′(20명, 23%), ′잘못한다′(7명, 8.5%)고 응답해 정부의 사회복지 전문요원들에 대한 정책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한편 이들이 관리해야 하는 생활보호자, 한시 생보자, 저소득 모자가정은 1천명 이상이 47명(54.6% )이며 800∼1천명은 11명(12.6%), 500∼800명 18명(21%), 300∼500명 10명(11.6%)으로 나타났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