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가 물류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공인 물류관리사 제도가 시행 3년째를 맞고 있지만 취업보장이 전혀 안되는 등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건설교통부와 공인물류관리사회에 따르면 최근 제3회 공인물류관리사 시험합격자 1천827명을 비롯, 지난해 439명, 97년 1천109명 등 모두 3천327명의 물류관리사를 배출했으나 대부분의 물류업체들은 이들에 대한 존재의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문에 시험에 합격하더라도 취업이나 특전이 전혀 없는 실정이어서 물류관리사 자격증은 휴지조각이나 다름없다고 공인물류관리사회는 주장하고 있다.
공인물류관리사회는 특히 관련 기업들이 자격증 소지자들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할 법적근거가 없는 등 근본적인 개선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유명무실한 자격증 취득자들만 양산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공인물류관리사회의 한 관계자는 “취업을 위해 물류관리사 수험생들이 쏟은 시간적 경제적 비용에 비해 자격증 취득으로 얻어지는 보상은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하고 “심지어 5∼6년씩 준비한 수험생들도 많은데 현재와 같은 정책부재와 오류가 계속된다면 조만간 물류관리사 제도는 실패작으로 끝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 97년 1회 시험에 합격한 이모 물류관리사는 “현장실습과 실무교육 등을 보충해 전문인으로 양성하기 위한 체계를 갖추는 것도 필요하지만 건설교통부가 취업이 용이하도록 전반적인 제도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물류업체들이 이들을 의무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규제완화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정부정책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어렵다”며 “취업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통해 관련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원하도록 유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