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선 시·군이 규제·구조·관리·행정서비스분야에서 다양한 시책을 발굴, 추진하고 있어 지방화시대 행정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도가 지난 8월30일부터 9월 13일까지 경기개발연구원 박사급 3명을 포함한 3개반 8명으로 평가반을 구성,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규제·구조·관리·행정서비스 등 4개부문에 대한 혁신평가를 실시한 결과 밝혀졌다.
평가결과 시지역에서는 과천시가 1위, 수원시가 2위, 안양시가 3위를, 도농복합시를 포함한 시·군지역에서는 양평군이 1위, 김포시가 2위, 광주군이 3위를 각각 차지해 1억∼2억원의 상사업비를 지원받았다.
과천시의 경우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지하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로 도로굴착시 안전발생을 예방했고 실무부서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연결, 각종 민원을 처리해 사고 발생으로 인한 예산손실을 감소했다.
수원시의 경우 토목·시설공사 등 건설공사 59개 대상사업을 선정, 일상 현장감사를 통해 행정상 108건, 재시공 29건, 설계변경 감액 22건 등을 조치해 성실시공과 안전문화 정착에 기여한 ‘부실시공 및 부조리 예방을 위한 일상감사제’를 도입, 추진했다.
안양시의 경우 유휴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지난해 306억원의 이자수입을 올리는 등 세외수입에 경영마인드를 도입했다.
양평군의 경우 1·2단계 조직개편을 예상해 정원대비 결원율을 12%로 유지하므로서 조직개편시 내부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조직관리가 돋보였다.
김포시의 경우 지방의회 활동에 대한 주민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효율적인 의회운영을 추진하기 위해 전반적인 의회운영에 대한 사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전산관리시스템을 자체 개발했고 광주군의 경우 환경사업소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이론 및 기술교육을 통해 시설운영개선 및 소요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
이밖에 구리시는 수택3동 청사를 건설하면서 상업시설을 복합적으로 유치, 경영수입을 올리는 등 도내 시·군들이 다양한 행정개혁 시책을 발굴, 추진하고 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