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트라이파크전략 도입주장 제기

경기도가 국경없는 지방화시대의 주역이 되기 위해 리서치파크(RP), 사이언스파크(SP), 테크노파크(TP) 등을 연계해 발전시키는 경기트라이파크 전략이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진호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 교수(전 경기중소기업진흥재단 대표이사)는 최근 연구를 통해 도내 중소기업들이 치열한 국제시장환경 속에서 초일류 지방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벤처마인드가 중심축을 이룬 경기트라이파크 전략이 활용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우선 도내 28개 대학에서 40여개의 특화된 리서치파크를 만들어 광적인 실천력, 추진력, 집중력 등을 갖춘 벤처기업가가 배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서치파크는 독립채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술거래와 이전을 생활화해야 하며 특허획득경쟁과 로열티수입창출에 매달려 대학을 지적자산형성의 보금자리로 조성해야 한다고 정 교수는 설명했다.

정 교수는 이어 동수원 IC부근에 건립중인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의 전략적 위치를 활용해 경기사이언스파크를 벤처창업의 메카로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위해 리서치파크에서 축적된 첨단혁신기술이 상품화 및 상품개발에 이전되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또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특색에 맞게 대학과 기업이 연결되는 테크노파크를 개발, 벤처창업기업과 외국인투자 다국적기업을 유치해 벤처성장의 교두보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이와함께 테크노파크를 산학연 컨소시엄 첨단산업단지로 발전시켜야 하며 안산테크노파크를 선두로 수원, 용인, 성남, 안양, 부천, 포천, 평택 등지에 테크노파크를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