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과 올해말로 개발부담금의 한시적 면제가 끝나자 경기도내 공장건축 신·증설이 급증하고 있으나 공장건축물량이 태부족, 일선 시·군이 물량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공장설립 승인을 받은 업체가 물량부족으로 건축허가를 받지 못해 자금대출, 기계설비계약 및 납품취소 등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어 경기회복세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경기도는 15일 올해 공장건축 집행량은 지난 8일 현재 총배정량 222만8천㎡의 98%인 220만2천㎡를 사용했다.
이는 지난해 집행량 63만1천㎡의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IMF로 침체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추세에다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에 의해 개발부담금 면제가 올해말로 끝남에 따라 최근들어 공장 신·증축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일선 시·군에서는 도에 공장건축물량을 추가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는 등 물량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실제 부천시의 경우 올해 배정받은 2만8천㎡를 이미 소진하고 추가로 당초 배정량보다 많은 3만㎡를 최근 도에 요청했다.
또 19만2천㎡의 물량을 소진한 시흥시도 최근 대흥정공이 2천733㎡의 증축을 요청하고 2개 업체가 1천851㎡의 신축물량을 신청함에 따라 도에 4천584㎡의 추까 물량을 신청했다.
이밖에 안산, 화성 등 도내 공장이 밀집된 지역에서도 최근 공장건축허가 신청이 잇따르자 도에 공장건축물량을 추가로 지원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시·군으로 부터 부족물량을 접수받아 지난 12일 건설교통부에 27만4천㎡를 추가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건교부는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시된 사항이기 때문에 추가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공장물량을 추가로 지원해 주지 않을 경우 업체들이 공장설립승인을 받고도 생산활동을 못하고 기계설비계약 및 납품취소 등의 부작용이 일고 있다”며 “이 때문에 회복세를 보이는 경기가 다시 추춤거릴 수 있어 물량 추가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유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