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오는 2007년 물부족사태에 대비, 현재 팔당호인 식수원을 이전하고 식수댐을 건설하기 위한 용역을 발주하기로 하자 환경단체들이 팔당상수원을 포기하는 정책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7일 도에 따르면 도는 현재의 도시화와 시화지구 개발 등 공업단지 조성으로 용수사용량이 늘어나면 광역상수도 6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는 오는 2007년부터는 도내 하루 140만t(연간 5억1천100만t)의 물부족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누수량을 줄이고 절수량을 증가시키는 ‘10·10 물절약운동’을 펼치고 있지만 부족된 용수난을 해소하기는 어렵다고 판단, 상수원 이전을 주요 골자로 하는 용역을 이번주중 경기개발연구원에 발주할 계획이다.
도는 이 용역에서 상수원을 이전할 경우 식수댐 건설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들어 이 부분에 대한 연구도 의뢰하기로 했다.
경기개발연구원은 21세기 용수난에 대비, 지난 94년 가평 북면 등 경기·강원지역에 8곳의 식수전용댐을 건설하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어 이번 용역에서도 같은 내용의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환경관련 단체들은 상수원을 이전하고 식수댐을 건설한다는 것은 팔당상수원을 보호하려는 정책을 포기하려는 ‘땜방식 정책’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수원환경운동센터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 식수전용댐 건설을 놓고 한바탕 논란을 벌이다 결국 정부가 이 정책을 포기하기도 했는데도 도는 용수난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상수원 개발에 따른 식수댐을 건설한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정책결정”이라며 반발했다.
이 관계자는 또 “새로운 식수원을 찾기에 앞서 팔당상수원을 보호하려는 정책이 우선시도 돼야 하고 누수량을 줄이고 절수량을 늘려 부족한 부분을 대처하려는 환경정책이 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도 관계자는 “이 용역에는 식수원 이전외에 현재의 팔당상수원을 보호하기 위한 내용도 포함돼 있다”며 “이번 용역은 도의 장기적인 상수원정책에 대해 다각적인 면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