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장외투쟁나선 야당 압박

여당이 단독국회운영 방침을 천명, 장외투쟁에 나선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야당이 산적한 국정현안을 뒤로 미뤄놓고 장외로 뛰쳐나갈 만큼 명분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 여당의 판단이다.

더군다나 야당이 ‘언론문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자신들의 잘못을 지역감정에 의존, 모면하려 한다는 것이다.

특히 세풍사건과 관련 장외투쟁에 나섰던 지난 9월에 이어 또다시 국회를 파행으로 이끌고 있다는 비난도 거셀 것으로 보여, 여당이 굳이 정면대응으로 일관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언론문건 관련 국정조사에 대해 여야 모두 부담을 느끼고 있는 만큼 야당의 장외투쟁 중단과 조속한 국회복귀를 촉구하며 실리와 명분을 쌓자는 생각이 강하다.

이만섭총재권한대행이 이날 당무회의에서 “부산시민들도 야당이 국회에 복귀해 일하라고 외치고 있다”고 주장한 것이나, 이영일대변인이 논평을 통해 “새천년 예산안과 민생법안, 정치개혁등 산적한 현안을 제쳐두고 국회의원들이 길거리에 나설 명분은 없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국회 정치개혁특위 활동시한이 이번달말까지이고, 다음달 2일까지 내년도 예산안을 통과시켜야 하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

자칫 야당의 공세에 맞대응으로 일관할 경우 여야 모두 ‘정쟁을 일삼는다’는 국민들의 비난을 모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회의는 이날 당무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 논의에 착수했고, 조만간 공동여당의 정치개혁입법 단일안도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그러나 ‘언론문건’파문이 장기화될 경우 여당측도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정보매수설’등으로 야당을 몰아치고 있기는 하지만, 국민회의측도 이종찬부총재의 ‘국정원 문건반출’로 인해 그리 떳떳한 입장은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나라당은 문건파문과 관련‘밀리면 끝장’이라고 판단, 오는 9일경 수원에서 다시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는등 초강경입장을 계속 고수하고 있어 정기국회의 정상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조속한 여야의 타협 또는 총재회담 등을 통한 정치적 타결을 모색하지 않는한 이번 정기국회도 파행운영될 가능성이 크다./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