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대책문건’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이 ‘문건작성자’에서 ‘문건전달자가 누구냐’는 것으로 중심 이동하고 있다.
문건작성자로는 27일 중앙일보 문일현기자로 드러난 만큼 누가 어떤 의도로 이 문건을 한나라당 정형근의원에게 전달했느냐하는 문제가 남는다는 것.
이에따라 국민회의측은 ‘선-전달자신원공개, 후-국정조사’를 주장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선-국정조사’를 요구하며,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대여 전면전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처럼 여야가 이번 사건을 둘러싸고 한발도 물러서지 않으려는 이유는 그만큼의 ‘폭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문건전달자가 여권의 주장대로 중앙일보 간부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한나라당은 물론 정의원 개인의 정치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또 중앙일보 간부가 개입됐다면 여권 핵심부에 타격을 가하고 다른 언론사의 동참을 이끌어내기 위해 중앙일보가 계획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더군다나 야당과 중앙일보의 ‘밀월설’로 인해 ‘언론탄압설’에 대한 대의명분은 물론 심각한 도덕적 상흔을 간직할 수도 있다.
반면 정의원의 주장대로 이부총재가 문기자로부터 문건을 받아 과거 국정원장 시절 기조실장을 지낸 이전수석에게 전달했다는 것이 사실일 경우 여권은 또 한번의 도덕적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이때문에 여야는 물론 중앙일보까지 나서 맞고소전 양상을 펼치며 난타전을 벌일 수 밖에 없다.
정의원은 27일 오후 국회 본회의 긴급발언을 통해 이전수석을 다시 ‘작성책임자’로 말을 바꿨으며, 문건전달자도 언론인이 아니라 국민회의 이종찬부총재의 측근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당초 지난 25일 한겨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모언론사 간부로부터 받은 것’이라는 발언을 다시 뒤집는 것이기도 하다.
당초 문건작성자로 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