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수해특위 첫 증인심문

28일부터 시작된 경기도의회 경기북부 수해에 관한 행정사무조사특위의 첫 증인심문은 한마디로 국정감사나 국정조사를 훨씬 뛰어넘는 수작이라는 평가다.

21명의 증인을 참석시킨 가운데 수해피해 확산원인 규명작업에 나선 의원들은 서류 몇장에 의존한 수박겉핥기식이 아닌 주민들의 편에선 다양한 자료로 증인들을 압박해 나갔다.

현장조사 결과를 나름대로 정리한 두툼한 서류뭉치는 물론이고 연천댐 구석구석의 문제점을 담은 비디오 테이프까지 상영한뒤 증인들의 심문에 들어갔다.

더구나 단지 지난해 수해요인뿐 만아니라 17여년전 연천댐 허가과정에서부터 수해에이르는 과정, 댐건설을 위한 당시 현대측의 연구용역결과, 일지별 행정과 댐관리소의 착오 등과 관련한 자료들을 중심으로 북부지역 수해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이같은 의원들의 추궁에 증인으로 나선 공무원들과 현대직원들은 한동안 북부지역의 수해는 천재라는 주장으로 버티다 끝내는 수긍하기 시작했다.

특히 일부 공무원들은 의원들이 지적한 내용보다 구체적인 자신들의 잘못을 시인했고 현대측도 부분적인 시공자로서의 책임을 통감, 연천댐 붕괴에 따른 정확한 실사를 통해 주민보상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표했다.

그러나 의원들은 끝내 아쉬워 했다.

오전 10시부터 시작한 연천지역 수해원인 규명을 위한 증인심문이 오후 5시30분에 끝나는 강행군을 했지만 회의장 밖에서 모니터를 통해 회의진행과정을 지켜보는 주민들에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안겨주지 못했다는 미안감 때문이었다.

의원들은 6시부터 파주, 동두천, 포천지역의 수해원인 규명을 위해 회의장으로 들어서면서 또다시 의지를 불태웠다.

이날 특위회의실은 날이 바뀌었음에도 불구, 환하게 밝혀져 있었다./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