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값 안정에 총력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무·배추·고추 등 일부 농산물 가격의 안정이 시급하다. 이들 품목들은 지난 8월의 극심한 수해로 파종면적이 줄어든데다 추석이후 잦은 비와 고르지 못한 날씨로 인해 작황이 좋지 않아 산지출하량이 작년의 70%수준에 그쳤기 때문에 가격이 올랐다고는 하지만, 그 폭이 너무 크다.

수원의 경우 알타리무(1단 도매가 2천500원)는 작년보다 최고 5배나 올랐고, 배추(포기당 2천5백원)와 무(개당 1천2백원)도 2∼3배이상 뛰었으며, 고추(4㎏ 1만8천원)는 1만원 올랐다. 이들 품목의 작황은 기본적으로 기상조건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지난 여름의 집중호우는 불가항력이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거의 주기적으로 되풀이 되는 것을 그냥 앉아서 당할 수는 없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농수축산물 가격은 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극심한 풍수해를 겪은 후에는 당연히 가격이 뛸 것이라고 소비자들은 생각하고 있고, 이같은 소비자 물가심리가 실제이상으로 가격상승을 가져온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으려면 필요한 때에 필요한 양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통구조의 개혁과 산지수매 및 직거래의 확대가 필수적이다. 당국은 이들 분야에 대한 과감한 개혁에 나서야 한다.

물론 농수산물 가격파동이 일어날 때마다 당국이 항상 강조하는 말은 유통구조개선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없다. 수해를 겪은 후에는 언제나 농수산물의 생산·공급량이 감소한 틈을 타 중간상이나 대형 유통업체들의 농간이 있었다. 당국은 이런점을 감안, 유통단계별 폭리사례가 없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유통업계는 신선도가 급히 떨어지고 부패 변질되기 쉬운 농수산물의 특성상 저장·운송·포장자재비·인건비 등을 감안해서 통상 인정되는 마진폭을 30%로 보고 있다. 그러나 작황부진으로 산지출하량이 줄면 부도덕한 중간상들이 농간을 부려 이들의 마진폭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