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선수는 자신의 몸이 곧 상품이다. 이것이 프로정신이다. 요즘 국내외 유명 프로선수의 잇따른 추태는 프로정신을 잊은 처사로 스포츠팬들을 실망시키고 있다.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어웨이경기 7차전 삼성과 롯데의 경기를 난장판으로 만든 롯데 용병 호세의 추태도 그렇다. 호세는 롯데가 0-2로 뒤진 6회초 2사후 중월1점홈런을 날렸다. 3루를 돌때 관중에서 물세례가 날아들고 홈인해서도 1루석에서 라면국물 등이 또 날아들었다. 호세는 화를 내며 야구 방망이를 관중석에 내던지면서 장내는 삽시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핵주먹 타이슨은 지난 24일 라스베이거스에서 노리스와 가진 복귀전 1라운드 종료후 상대의 얼굴을 가격하는 반칙을 범해 게임이 무효화됐다.
미국 프로야구의 우상이었던 왕년의 홈런왕 행크 아론은 어느 원정경기에서 만루 홈런을 치자 관중석으로부터 “야! 이 곰아!”하는 야유를 받았으나 오히려 손을 들어 웃어보였다. “나는 오늘 영예로운 닉네임을 팬으로부터 얻었다. 곰이라고 불러준 사실에 감사한다”고 말한 것은 경기가 끝난뒤 가진 기자들과의 인터뷰서였다.
불멸의 프로복싱 영웅, 무하마드 알리는 “나에 대한 관중의 야유는 나에 대한 관심이며, 나는 그들의 관심에 흥미를 갖게해 줄 상품으로써의 가치가 있도록 노력한다”고 말한적이 있다.
관중없는 프로경기, 팬없는 프로선수는 이미 프로일 수가 없다. 그러므로 프로선수는 어느 경우든 자신의 몸을 상품으로 관리할 줄 아는 철저한 프로정신의 추구가 요구된다.
관중의 야유에 화를 내거나 반칙을 일삼는 프로선수는 그 자신이 프로이기를 포기하는거나 다름이 없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