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따른 노인문제

고령화 추세에 따른 노인복지문제는‘복지정책의 꽃’이라 일컬을 만큼 그 수요 또한 방대하다.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한 노인의 절대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속에서 건강과 경제상태, 가족환경과 관련돼 복지욕구 또한 다양하기 때문이다.

도북부출장소가 지난 11일 의정부시 청소년회관에서‘생산적 노후를 위한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이란 주제로 노인복지정책 심포지엄을 가졌다.

이날 심포지엄은 김대중 대통령이 지난 2일‘노인의날’을 맞아 노인복지회관과 경노당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는 내용의 담화문에 이어 김종필총리가 올해부터‘21세기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보건복지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힌 노인복지정책과 맞물려 지방정부의 수순밟기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이 경노당과 각종 복지시설 등 눈에 보이는 양적인 시설확충에 중점을 둔 나머지 할 일없는 건강한 노인들이 마을 경노당과 노인정에서 경제적 곤란과 고독에 시달리며‘화투나 장기’놀이에 소일해야 하는 계층으로 전락한 것도 사실이다.

이미 과거의 권위나 집안의 존중받는‘어른’의 모습조차 상실돼가고 있다.

심포지엄에서 도출된 대안들은 주로‘생산적 노후’를 강조하며 각종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들의 취업욕구를 해소할 행정적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노인들은 이젠 실질적 대안없는‘소리없는 아우성’엔 관심이 없다. 양적인 복지정책에서 질적인 변화, 즉 사회생활을 영위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기본여건을 원할 뿐이다.

최근 공공근로사업 신청자가 대거 줄고 있다. 젊은 실직자들이 임시적으로 맡았던 공공근로는 이젠 이들 건강한 노인들의 몫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이들의 작은 항변이기도 하다./의정부=조한민기자(제2사회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