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팔순잔치’가 열리는 인천에는 팔도 미식가들의 군침을 돌게할 토종 음식들이 적잖다.
인천시가 향토전통음식품평회를 통해 선정한 향토전통음식은 15가지로 특색식품도 6가지나 된다. 인천에서 나는 재료들로 만들어져 전해지는 향토 먹거리는 시가 선정한 ‘맛있는 집’ 50곳을 중심으로 만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음식은 ‘인천해물전골’로 부평 해물탕거리가 유명하다. 인천 연근해에서 갓 잡아올린 꽃게, 산낙지, 조개, 새우 등 각종 해산물에다 야채와 육수를 곁들여 얼큰하게 끓여낸 맛이 일품이다.
자장면, 쫄면, 물텀벙이 등 인천에서 처음 만들어져 전국으로 전파된 음식을 맛보는 것도 식도락가들에겐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일.
자장면의 원조는 본래 중국 산둥성이지만 1905년 인천에서 개업한 ‘공화춘’이라는 청요리집이 부두 노역자들을 위해 싼값에 공급한 자장면이 현재 ‘한국 자장면’의 원조이다. 지금도 인천시 중구 선린동 화교촌에 위치한 중국음식점가에서 특유의 춘장이 덮여 나오는 원조 자장면을 맛볼 수 있다.
분식의 대명사격인 쫄면도 인천 태생. 30여년 전 인천시 중구 경동에 있던 ‘광신제면’의 창업주가 냉면을 만들다가 우연히 불거져 나온 굵은 국수가락을 발견했는데 이것이 쫄면의 원조가 됐다고 한다. 쫄면이라는 이름은 70년대 초 인천시 중구 인현동위치한 분식점 ‘맛나당’의 주방장이었던 노승휘씨가 면이 하도 쫄깃해 ‘쫄면’이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됐다.
아귀찜과 아귀탕을 일컫는 물텀벙이 역시 인천이 원조. 어부들이 바다에서 조업을 하다 그물에 아귀가 올라오면 워낙 못생긴 외모 탓에‘텀벙’ 버렸다고 해서 그 이름이 유래됐으며 60년대 무렵 생선이 귀해지면서 식탁에 오르게 됐다고 한다. 미나리, 쑥갓, 참미더덕, 조개의 부채살 등을 듬뿍 넣어 얼큰하게 끓인 원조 물텀벙탕의 맛은 인천시 중구 용현동 물텀벙 전문식당가에서 즐길 수 있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