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우대자금 농민들 외면

농협이 농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농업인 우대 저리자금 대출을 실시했으나 일선조합의 대출기피 등으로 지원실적이 저조해 당초 취지를 무색케 했다.

특히 영농철인 지난 4월과 5월 농가들의 자금신청이 저조하자 농가당 한도를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확대하고도 대출실적이 부진, 중앙회의 선심성 대출로 그쳤다는 지적이다.

11일 경기농협지역본부에 따르면 정대근 농협중앙회장이 취임이후 농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4월부터 9월까지 연 9.75%로 농가당 300만원까지 농업인 우대 저리자금대출을 실시했으나 지원실적이 당초 계획인 4천394억5천800만원의 24.1%인 1천60억900만원에 그쳤다.

이처럼 농업인들이 저리자금 대출을 기피한 것은 일반농업경영자금이 올들어 6.5%에서 5%로 인하돼 이번 지원금리보다 무려 4.5%포인트가 차이가 나 자금신청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9.75%의 저리자금이 지원되면 대출을 받은 조합원이 13%대인 고금리의 상호금융 자금을 상환하게 되고 결국 조합은 차액만큼 이자손실이 발생해 적극적으로 대출을 지원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회원조합별 목표대비 대출 실적이 저조한 농협은 경기서부농협이 7.91%로 가장 낮았으며 양평 청운농협이 8.62%, 남양주 화도농협이 9.73%로 10%미만이 3개농협에 이르렀으며 10∼20%미만인 농협은 시흥 소래농협(10.16%), 안성농협(10.63%), 수원농협(14.76%) 등 30개농협에 달했다. /정근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