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샘물’도 방사능인가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에서 시판중인 ‘먹는 샘물’(생수)과 지하수에서 인체에 해로운 고농도 방사능이 검출된 것으로 밝혀져 국민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환경부가 국회에 제출한 ‘먹는샘물’ 업체 114개사와 지하수 104곳에 대해 실시한 ‘지하수 중 방사성물질함유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자료에 따르면 우라늄의 경우 5개업체의 ‘먹는샘물’이 미국의 제안치(提案値)를 초과했고, 라듐은 16개사 제품이 미국이 설정했던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에는 포천·남양주·양평 등 도내에서 취수 생산되는 상당수의 ‘먹는샘물’에서 우라늄과 라듐이 미국 권장치의 5∼20배이상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하수중에는 라듐이 양평군 용문면 상현리와 신정리 등에서 미국 권장치를 18∼22배를 초과하는 등 조사대상의 모든 지점에서 높게 검출됐으며, 우라늄은 15개 지점에서 미국의 제안치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내용이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환경부의 자료이니 믿을 수밖에 없는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우라늄 라듐 등 방사능 수질 허용기준치를 마련해 놓지 않아 ‘먹는샘물’과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국민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미국도 음용수에 대해 우라늄과 라듐의 기준치 설정을 제안하고 있는 단계이며, 식수로 사용하는 지하수가 많은 곳에서 제안치를 초과하고 있지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별로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기는 하다. 하기야 우리가 X-레이 검사(촬영)를 해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처럼 방사능은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핵심은 ‘먹는샘물’이나 지하수가 어느 정도의 방사능을 띠고 있더라도 그것이 어느 수준이어야 안전한가를 가름할 수 있는 기준은 있어야 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제 WHO 등 세계기구나 권위있는 연구기관에 의뢰, 음용수에 대한 방사능 허용기준치 설정 작업을 서둘러 국민들의 불안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