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사고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안전보단 공사중심의 시공위주가 여전히 만연하는 탓이다. 안전을 소홀히 한다고 해서 공사가 잘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상대적으로 안전의식 경시가 불식되지 않는 것은 인명경시 풍조에 그 이유가 있다.
산재사고가 전국적으로 해마다 늘고 있는 것은 공사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안전을 소홀히 한데 더큰 원인이 있다. 이같은 인명의 소홀함이 다름아닌 국책사업에까지 발견되는 것은 유감이다. 인천국제공항 공사현장이 사람잡는 공사장이 된것은 충격이다. 지난 96년부터 올 7월말까지 106건의 산재사고가 일어나 20명이 숨지고 86명이 다쳤다. 평균 10여일마다 1명의 사상자를 낸 셈이다.
기반시설공사 때보다 전면고가교량 등 구조물중심공사로 전환하면서 사고는 더 많아졌다. 위험요인이 적은 준비공정에서 위험부담이 높은 본격공정으로 접어들어 더 많아졌다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합당한 이유가 못된다. 예견될 수 없는 돌발상황이 아닌 산재사고는 모두 인재다. 절반이 넘는 추락, 낙하, 협착 등의 사고유형이 거의 이에 속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고난도의 복합공사다. 위험한 공사임을 모르지 않는다. 그렇다 해서 10여일 꼴로 일어나는 산재사고가 불가항력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위험할수록이 그에 따른 안전수칙이 있다. 산재사고는 결국 시공자의 책임이다. 설사, 피해자에게 좀 잘못이 있다하여도 시공자의 포괄적 책임으로 돌아간다.
도대체 감독관청은 산재사고 예방에 얼마나 힘썼는지 궁금하다. 행여 대형공사엔 희생이 불가피하다는 그릇된 전근대적 관념에 사로잡혀 있지 않은지 묻고자 한다. 아울러 산재사고에 철저한 경찰수사를 촉구한다. 책임의 소재를 분명하게 가리는 것은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예방에 도움을 준다할 것이다.
산재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인천국제공항 신축공사는 아직도 공정이 많이 남았다. 안전대책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