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범 급증 걱정된다

도내에서 살인 강도 강간 등 이른바 5대 강력범죄가 해마다 늘고있는 것은 예삿일이 아니다. 경기경찰청이 국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도내 5대강력범죄 발생률이 지난 96년 4만483건에서 97년 4만4천149건으로 9% 증가했고, 98년엔 4만9천555으로 12.2%, 올 7월말 현재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61%나 급증한 3만334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강력범죄들이 최근 수년간 급증한 것은 여러측면에서의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무엇보다도 IMF 사태 여파로 실직자가 쏟아져 나오고 이에 따라 사회불안이 가중되면서 일어난 현상이 아닌가 짐작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국민들은 아직도 IMF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채 심란한 터에 강력범들의 증가로 치안불안까지 겹치고 있으니 선량한 시민들로서는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청송보호소 출감 전과자들이 환각상태에서 닥치는대로 떼강도 행각을 벌인거나, 파출소 근처에서 6억여원이 든 돈가방을 오토바이로 날치기한 안양사건처럼 요즘 범죄꾼들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대담·흉포화하고 있어 범죄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경찰이 강력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주민불안을 가중시키고 있음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며칠전 의정부 등 전국을 돌며 환각 떼강도짓으로 무고한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한 전과자강도단이 경찰에 잡혀 다행스러운 일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해서 빈발하는 강력사건 때문에 항상 시민들의 가슴에 잠재된 피해의식의 두려움과 불안감을 완전히 씻어 주지는 못한다.

경찰은 강절도 등 범죄인을 잡고, 방범활동을 강화해 치안을 확보하는 것이 본연의 임무다. 세상이 시끄럽고 뒤숭숭할수록 경찰력은 한층 강화되어야 한다. 가뜩이나 스산하고 각박해진 세태에 치안마저 무너진다면 우리 사회는 더욱 불안에 떨 수밖에 없다. 국민들이 마음놓고 거리를 다니지 못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없는 상태라면 국민의 안전은 지켜질 수 없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