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문화제’

제36회 수원화성문화제가 지난 7일부터 오는 13일까지 7일 일정으로 열리고 있다. 정조대왕맞이 전야제를 시작으로 정조대왕 화성거둥행사에 이어 오늘 혜경궁 홍씨 회갑연 및 전통무예 재현이 화성행궁에서 펼쳐진다.

수원화성문화제 경축행사, 정조대왕맞이 축제행사 일환으로 민속경기 전국사진촬영대회 전국궁도대회 수원갈비축제 시장거리축제 화성문화예술축전 등 다채로운 행사가 이어진다. 유서깊은 성곽, 화성이 유네스코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이후 갖는 점에서 올행사는 더욱 뜻깊다.

수원시는 정조대왕의 효의 정신과 개혁사상의 산물인 화성축성의 역사적 의미를 기리는 문화관광축제로 테마화하기 위해 종전의 화홍문화제를 수원화성문화제로 명칭을 바꾸었다.

그러나 반론이 없지 않다. 화성의 고유명칭은 수원화성이 아닌 화성이며, 또 수원화성은 지명에 지명을 보탠 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 그냥 화성문화제로 해야 한다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대해 수원시는 그냥 화성문화제로 하면 화성군행사로 잘못 알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것 같다.

앞으로 좀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신인 화홍문화제는 35년을 이어온 전통적 문화행사로 지역사회의 긍정적 평가를 받아왔다. 여기에 정조대왕행차를 비롯한 당대와 현대의 화성영상쇼등 빅이벤트를 포함, 조화롭고 다채로운 축제행사로 발전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세부행사로 봉수거화에서 레이저쇼, 컴퓨터그래픽전시회 등 30여가지가 열리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제한된 시민들만 참여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물론 전시민이 다 참가할 수는 없는 일이지만 좀더 범시민적 축제감각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화성이야말로 지역사회의 정체며 이는 모든 지역주민, 즉 시민의 구심점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수원화성문화제는 이번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