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하철 시운전 시승기

“잠시 후 동막행 전철이 도착합니다.”

앙증맞은 인천지하철1호선이 미끄러지듯 플랫폼으로 들어왔다.

6일 정오 첫 운행을 시작한 인천지하철을 타기 위해 대기중이던 시민들은 인천지하철의 모습에 큰 호감을 느꼈다.

경인전철에 익숙해 진 인천시민들이 “이젠 우리의 지하철을 타게 됐다” 며 반겼다.

베이지색과 바다색으로 단장된 전동차는 30초간 정차한 뒤 다음역을 향해 달리기 시작했다.

서울지하철에 비해 실내 폭이 37㎝좁아 맞은 편 승객을 빤히 쳐다 볼 수 있어 다소 어색하긴 했으나 쪽빛 의자와 자동조절되는 실내온도, 단정한 선반과 손잡이 등이 편하고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특히 부드럽게 달리는 실내에선 소음을 거의 느낄 수 없었고 철로사이의 간격을 줄인 시공으로 덜커덩 거리는 소리도 별로 들리지 않았다.

이날 첫 운행 열차에 탄 시민들은 “언제 이렇게 지하철을 다 만들어 놨는가”라며 삼삼오오 어깨를 맞대고 앞으로 달라질 대중교통을 이야기했다.

연수구 연수동 김영분씨(67)는 “조용하고 깨끗한 게 무엇보다도 마음에 든다” 면서 “그동안 시내 곳곳을 파헤치고 공사를 벌여 불편했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다” 고 말했다.

인천지하철에서 눈에 띄는 것은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

대부분 역에는 에스컬레이터와 장애인 및 노약자 전용 엘리베이터 등이 설치돼 있다.

장애인을 위한 화장실도 별도로 마련됐고 역사 곳곳에 마련된 넓은 공간도 시민들의 작은 휴식공간으로 이용될 것으로 보였다.

각 역의 개찰구에는 첨단장비가 내장돼 있어 승차권을 투입치 않고 들어가거나 나올 경우 경보음과 함께 빨간색 방어막이 재빨리 개찰구를 봉쇄해 얌체족들의 무임승차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

또 주요 정거장에 설치된 예술작품도 주목거리다.

부평역에 설치된 ‘인천의 미래’는 전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