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문제 여야 갈등증폭

중앙일보에 대한 언론탄압 의혹을 둘러싸고 여야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4일 박지원문화관광부장관 해임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한데 이어 5일 문화관광위 국감을 거부하고 나섰고, 법제사법위에서도 이 문제의 쟁점화에 주력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6일 오전 긴급의원총회를 열고 국감 최대쟁점으로 떠오른 중앙일보 사태와 관련 국정감사를 거부하는 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방침이다.

특히 이번 사태를 최대한 활용, 정국주도권을 되찾는 동시에 국민을 상대로 한 여론싸움에서도 승기를 잡겠다는 의도다.

이회창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사태는 단순히 박장관 개인문제가 아니라 현정권의 언론개입이 문제인 만큼 박장관을 포함 관계자도 책임져야 한다”면서“김대중대통령은 사과와 함께 박장관등 관련자를 해임해야 한다”며 대여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부영총무도 “해임건의안을 반드시 관철시킬 것”이라고 거듭 다짐하고 있는 것도 이번 사태가 야당이 사활을 걸 정도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한나라당쪽에서는 부인하고 있지만, 지난 대선때 당시 이회창후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해준 중앙일보에 대한 보은(?)적 성격도 적지 않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에 대해 국민회의는 국감이 종료(18일)이후 오는 20일경 국회 본회의에서 박장관 해임건의안 표결에 당당하게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공법을 택함으로써 국민의혹을 최대한 불식시켜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자칫 표결거부 등으로 여야간 충돌이 발생할 경우 오히려 의혹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또 야당의원들이 문광위 감사활동을 거부한데 대해서도 감사와 협상을 병행하자고 제안했으나, 야당의원들이 이에 따르지 않자 단독으로 국감을 진행하는 강공을 선택했다.

무책임한 정치공세에 치중, 야당의원들이 오히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