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내에 개발계획은 수립돼 있으나 도시기반시설이 전무한 준농림지역에 조합아파트가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어 입주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5일 시에 따르면 지난 7월 대화·가좌동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이 발표되기 전후부터 일부 건설업체들이 마치 이 지역이 도시기반시설이 잘 갖춰진 일산신도시 지역인 것처럼 다소 과장된 광고를 내보낸뒤 앞다퉈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다.
그러나 조합을 구성한후 시로부터 조합인가를 받고 사업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단지 규모가 조합원 모집 당시보다 축소될 수 있는데다 준농림지역이 대부분이라 토지매입, 용도변경, 건축허가 등에 시간이 많이 걸려 입주시점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특히 D건설과 I건설은 토지매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근 조합원 모집을 끝냈으나 토지매입 과정에서 지가가 50∼100% 인상돼 시공비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사전에 토지를 매입하고 사업승인을 받아야 하는 택지개발지역이 아닌데다 시가 체계적으로 개발에 참여할 수 없어 민간업체들의 난개발이 우려된다.
시는 이 일대 도로, 교육시설, 공원, 상하수도 등의 도시기반시설 비용을 건설업체들로부터 매입 토지의 35∼40% 수준에서 기부채납 받을 계획이다.
현재 대화지역에는 D건설이 664세대의 아파트를 건설하기 위해 조합 구성을 완료했으며, I건설이 8개동 566세대를 건축하기 위해 대행사를 통해 조합원을 모집했다.
대화지역보다 신도시에서 거리가 먼 가좌지역에서는 일산청원지역주택조합 명의로 16개동 938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한편 시는 지난 7월 대화 51만3천㎡, 가좌 55만9천 ㎡ 등 3개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을 발표했었다./고양=한상봉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