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농림지에 조합아파트 우후죽순

고양시내에 개발계획은 수립돼 있으나 도시기반시설이 전무한 준농림지역에 조합아파트가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어 입주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5일 시에 따르면 지난 7월 대화·가좌동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이 발표되기 전후부터 일부 건설업체들이 마치 이 지역이 도시기반시설이 잘 갖춰진 일산신도시 지역인 것처럼 다소 과장된 광고를 내보낸뒤 앞다퉈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다.

그러나 조합을 구성한후 시로부터 조합인가를 받고 사업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단지 규모가 조합원 모집 당시보다 축소될 수 있는데다 준농림지역이 대부분이라 토지매입, 용도변경, 건축허가 등에 시간이 많이 걸려 입주시점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특히 D건설과 I건설은 토지매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근 조합원 모집을 끝냈으나 토지매입 과정에서 지가가 50∼100% 인상돼 시공비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사전에 토지를 매입하고 사업승인을 받아야 하는 택지개발지역이 아닌데다 시가 체계적으로 개발에 참여할 수 없어 민간업체들의 난개발이 우려된다.

시는 이 일대 도로, 교육시설, 공원, 상하수도 등의 도시기반시설 비용을 건설업체들로부터 매입 토지의 35∼40% 수준에서 기부채납 받을 계획이다.

현재 대화지역에는 D건설이 664세대의 아파트를 건설하기 위해 조합 구성을 완료했으며, I건설이 8개동 566세대를 건축하기 위해 대행사를 통해 조합원을 모집했다.

대화지역보다 신도시에서 거리가 먼 가좌지역에서는 일산청원지역주택조합 명의로 16개동 938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한편 시는 지난 7월 대화 51만3천㎡, 가좌 55만9천 ㎡ 등 3개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을 발표했었다./고양=한상봉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