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2K사업 시·군 비협조로 난항

중소기업청이 Y2K(컴퓨터 2000년 인식오류)신규 진단업체 발굴과 중소기업의 관심을 촉진하기 위해 31개 시·군에 전문인력지원방안을 강구하는 등 Y2K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으나 시·군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에 2000년까지 3개월밖에 남지않는 기간동안 더 많은 수의 대상업체발굴에 시·군의 능동적인 대처가 아쉽다는 지적이다.

5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달초 Y2K문제해결사업을 강화해 진단업체확대에 나서 도내 31개 시·군과 함께 종업원수 30인이하 업체를 중심으로 신규진단업체 발굴 등 중소업체의 실태파악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시·군에서 사업확대에 필요한 협조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사업추진 한달이 넘어가는 상황에서 인력배정 등의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 Y2K업무를 중소기업청과 협조하에 추진할것을 고려한 시·군은 안산, 성남, 부천 등 4∼5개 시에 불과한 실정으로 대부분의 시·군에서 회신조차 하지않고있다.

이같은 배경은 중소기업지원업무를 담당하는 시·군의 지역경제과 및 기업지원과에 이를 다룰 전담인력이 부족하거나 Y2K실태조사업무가 본업무 이외의 부업무로 취급받아 각 시군마다 꺼려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난 7월부터 각종 자금 및 인력지원시 Y2K진단확인서를 첨부토록 했으나 신규로 파악된 진단대상업체가 현재까지 468개 업체에 그치는 등 Y2K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심규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