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정보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금융 서비스다. 모바일 간편 결제와 송금 P2P 대출, 로보어드바이저 등을 이른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빅데이터를 매개로 급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를 기점으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혁신의 주체가 ICT 기업인 ‘테크핀’이 핀테크를 누르는 원년이 되고 있다.
테크핀은 기술과 금융의 합성어로 핀테크를 구성하는 단어인 ‘금융’과 ‘기술’을 거꾸로 배치해 만든 신조어다. 테크핀은 오프라인의 접점이 없이 온라인에서 고객과 소통하는 모든 것의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의미한다. IT 기업들의 강점은 앞선 IT 기술과 넓은 고객 범위, 방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꼽힌다. 해외에서는 간편 결제나 생체인식 등의 기술을 앞세운 구글이나 아마존 등의 ICT 기업이 금융 혁신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
테크핀 기업들은 세계시장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금융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핀테크를 위협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등에 업고 전통적 금융회사가 가진 주도권을 빼앗을 것이 예상된다.
카카오의 증권업 진출이 확정됨에 따라 카카오뱅크가 은행권에 몰고 왔던 혁신 바람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될지 관심이 쏠린다. 카카오뿐 아니라 네이버나 토스(비바리퍼블리카) 같은 방대한 모바일 고객군을 보유한 정보통신기술(ICT) 업체들도 금융업 진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기존 금융사들과의 디지털금융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하고 있다. 테크핀의 진격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온라인에선 네이버페이(네이버)와 엘페이(롯데), 11페이(11번가) 등 각 유통업체의 간편 결제 시스템이 자리를 잡고 있다. 자산관리 앱 뱅크샐러드, 모바일 간편 송금 서비스 앱 토스 등은 주요 금융사와 제휴를 맺고 제공 서비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카카오페이도 올해 선보인 투자서비스를 펀드, 국내외 주식, 채권 등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네이버 역시 증권업에 진출할 수 있는 잠재업체로 분류된다.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네이버 파이낸셜을 분사했는데, 이 회사는 올 상반기 ‘네이버 통장’을 시작으로 신용카드 추천이나 보험상품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비즈니스의 경계가 파괴돼 플랫폼에서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비즈니스 간 융합 및 사업 확장 다변화가 발생한다. 둘째, 플랫폼은 생태계에 기반을 둔다. 생태계 참여 기업은 공급자와 수요자 등 플랫폼의 주요 구성원이다. 주요 구성원간 상호 작용과 여기서 창출되는 가치가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한다. 셋째,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1인당 거래 및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연결과 상호 작용이 활성화되는 네트워크 효과이다.
과거 고객과의 접점이 온라인이었던 것에 비해 최근에 등장한 인터넷 전문은행과 같은 금융 플랫폼은 모바일 스마트폰이다. 이에 따라서 기본플랫폼 서비스가 모바일 앱으로 제공되고 온라인은 부가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이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금융기관의 인력 감축이 확산되면서 비대면 업무 처리가 일반화되고 있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원스톱 서비스의 편리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를 어느 정도 확보한 플랫폼은 광고, 수수료, 부가 상품 판매 등과 같은 수익모델을 구축한다. 자연히 독점적인 시장 구조가 형성되어서 그 폐해가 나타날 수 있다. 수수료를 받기 시작하고 광고의 추가 도입으로 서비스 품질이나 효용이 감소한다.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패는 고객이 원하는 본질 수요를 만족시키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 주요인이다.
김기흥 경기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