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마음 근력 향상 노하우 공유... 실천 효과 확인·효능감 증진 노력 행복한 학교 문화 형성·정착 기대
경기도교육연구회 ④ 사회정서학습기반마음돌봄자기성장교육연구회
‘경기도 사회정서학습기반마음돌봄자기성장교육연구회’(회장 김선경)는 2017년 인성교육 중심의 지역연구회 및 정책연구회인 ‘마음돌봄자기성장연구회’에서 출발했다. 그러다 도단위 교육연구회로 확대되면서 2020년 ‘경기도통합예술심리상담교육연구회’로 바꿨다.
그러다 ‘경기도 사회정서학습기반마음돌봄자기성장교육연구회(이하 마음돌봄자기성장교육연구회)’로 올해부터 변경하고, 소진된 교사의 자가 치유와 회복을 목표로 연구회 핵심주제를 마음 돌봄과 의미있는 성장으로 재편하게 됐다. 이는 가슴 아픈 사회적 사건을 겪으면서 교사의 정서적 건강이 학생과 교육 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인식에서 시작된 변화다.
연구회는 사회정서학습(SEL∙Social Emotional Learning)을 기반으로 교사들이 일상에서 마음 근력을 기르고 이를 통해 학생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정서 순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현재 72명의 연구회원 중 37명이 실천 소모임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자의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마음 근력 향상 방법을 실천하고 이를 공유하고 있다. 또 정기적인 월례회를 통해 실천 결과를 나누며 프로그램의 효과도 확인하면서 교사의 효능감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5월7일에는 스승의 날을 앞두고 수원 영흥수목원에서 지역 연구회, 수원교육지원청, 경기도교육청과 연계해 ‘숲과 쉼이 있는 행복 발견 여행’ 행사를 진행했다.
5월 월례회에서는 김주환 교수의 저서들과 사회정서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마음 돌봄 실천 방법을 공유했으며 6월 월례회에서는 ‘AI와 일기쓰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마음 돌봄 방안을 주제로 연구 활동이 이뤄졌다.
또 5월27일에는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날’을 통해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활동 나눔을 확산했다. 경기도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대면과 비대면을 결합한 블렌디드 방식으로 운영된 이번 행사에서는 명상 및 요가 전문가와 함께 ‘단단한 마음을 위한 일상 명상’을 주제로 바쁜 일상 속에서도 실천 가능한 마음 돌봄 방법을 체험했다.
행사에 참여한 교사들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직접 해보고 느낄 수 있는 활동이었기에 힐링이 됐고 의미 있었다”며 “일상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 더욱 좋았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연구회 운영진은 “이런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된다면 교사의 마음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또 실천 소모임에 참여 중인 연구회원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서로의 실천 내용을 매일 확인하고 응원하며 연결감을 느낀다”고 한다.
연구 활동을 통한 성취감뿐만 아니라, 지역을 넘어 동료 교사들과 연결돼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된다는 의견도 있다. 이러한 현장의 반응을 통해 경기도 교육연구회 지원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마음돌봄자기성장교육연구회는 앞으로도 경기도교육청의 ‘하이러닝’ 및 ‘하이코칭’ 시스템을 활용해 연구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확산시키고, 교사와 학생 모두가 회복과 성장을 통해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문화가 형성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마음을 다하고자 한다. 김빛나 간사∙성남 운중고 교사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