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8개 교육관련 단체가 공동주최한 ‘도성훈 교육감 인천교육 3년, 평가토론회’가 25일 오후 인천YWCA 대강당에서 열렸다.
토론회는 ㈔인천교육연구소, 인천교사노동조합, 인천교육정책원, 인천실천교육교사모임, 전교조인천지부, 좋은교사운동인천정책위원회,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인천지부, 평등교육실현을위한인천학부모회 등 8개 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했다.
먼저, 김성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가 주제발표자로 나서 ‘인천시교육청 3년의 진단과 평가, 그리고 과제’를 주제로 교육감 2기 3년차를 맞은 도성훈 교육감 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했다. 김 교수는 시교육청의 혁신교육, 민주시민교육, 마을교육공동체 등의 정책사업이 일관성을 갖고 추진되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그는 “도성훈 교육감 2기에 들어 ‘읽걷쓰 브랜드화에 치중하면서 정책의 방향성이 모호해졌다”며 “이외에도 특수교사 사망사건 등의 후속 조치가 미흡한 점 등 교육의 목표에 따른 결과를 중심으로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부 토론회에서는 인천교육정책원 이종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고 인천교사노조 김정화 정책국장, 인천실천교육교사모임 박지현 교사, ㈔인천교육연구소 이성희 소장, 전교조 인천지부 권오균 정책국장, 좋은교사운동 한성준 공동대표, 평등교육실현을위한인천학부모회 김종찬 공동대표 등 6명이 토론자로 참석해 토론을 이어갔다.
이들은 도 교육감의 정책이 공약 이행률이 높고 일관성이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현장과의 소통 부재를 아쉬움으로 꼽았다.
김정화 인천교사노조 정책국장은 “시교육청은 전국 최초로 교육활동보호담당관을 신설해 민원 체계를 마련한 점에서 정책적 의미가 있다”며 “다만 현장에서는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만큼 적극적인 교육의 병행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희 ㈔인천교육연구소 소장은 “읽걷쓰’에 대한 수량 중심의 성과보다는 미래세대를 위한 읽기, 쓰기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인천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장과의 소통 등 교육 주체에 시선을 맞춘 교육정책의 실행이 우선이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토론회에 참여한 이들은 “이번 토론회가 도 교육감이 추진한 인천 교육의 성찰과 정책 전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인천교육의 진정한 변화와 회복, 희망을 만들어가기 위해 교육주체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