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인천지역 현장 교사들이 현 교육정책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인천교사노동조합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738명 중 608명(82.4%)가 현재의 환경과 교육 정책이 교사 전문성 개발에 부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인천교사노조는 지난 5월10~12일까지 인천의 초·중·고·특수학교 및 국공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교육부의 교육정책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설문을 했다.
그 결과, 응답자 중 대다수가 현재 교육 정책에 낮은 평가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통합 정책은 부정적 590명(85.5%), 고교학점제는 부정적인 평가를 한 교원이 566명(82.2%)으로 확인됐다. 특히 AI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점수에서 695명(94.2%)의 교사가 D, F 점수를 매겼다.
인천의 교사들은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중복선택 2개가능)으로 654명(88.6%)의 교사가 ‘업무 과다 및 행정업무 부담’을 꼽았다. ‘복무나 연수비 등 지원 부족’도 381명(51.6%)에 이르렀다. 인천교사노조는 교사의 ‘전문성은 개인의 노력’이라는 인식을 넘어서, 구조적이고 정책적인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인천교사노조는 교육정책과 교육입법의 현장적합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의 목소리 반영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교육이 본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교사 정원 확충, 악성민원과 교권침해로부터 교사 생존권 보장, 교사가 행정업무와 민원대응에서 벗어나 학생을 교육하는 본질업무에 더욱 충실할 수 있는 교육 여건 마련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인천교사노조 김성경 위원장은 “교육정책을 만드는데 상명하달식의 교육정책을 반복한다면 정부의 교육정책은 현장에서 꽃을 피우지 못한 채 시들고 말 것”이라며 “교사의 전문성을 살리면서 교육정책을 꽃피우는 가장 빠른 길은 교사의 목소리를 듣는 일”이라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