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한은, 취약계층 '체감물가' 더 올라…생활물가 상승이 원인

소비자물가 상승률 안정…생활물가 상승 흐름 가속화
이창용 "가계 부담 완화 위해 구조개혁 필요…추경 영향은 적을 듯"

image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가공식품, 주거비 등 생활물가 평가와 향후 주요물가 동인 점검'을 주제로 열린 2025 상반기 물가 설명회에 참석해 물가 상승 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1~5월 상반기 중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안정됐지만, 취약계층의 체감물가와 생활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이 내수 진작을 지연시킨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의식주와 같은 필수재의 물가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점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킨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18일 발간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엔 이 같은 내용의 분석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목표수준(2.0%) 근방에 머무르고 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부터 시작된 생활물가의 상승 흐름은 가속화하고 있다.

 

2021년 이후 지난 5월까지 누적된 생활물가 상승률은 19.1%로 동기간 내 누적된 소비자물가 상승률(15.9%) 대비 3.2%p 높았다. 특히 가공식품물가 상승률이 4%를 웃돌고 외식물가의 오름세도 이어지면서 생활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간 격차는 지난 하반기 0.1%에서 올해 상반기 0.4%로 상승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둔화만으로는 구입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은 필수재를 비롯한 생활물가의 상방 압력을 상쇄하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OECD 평균을 훨씬 웃도는 의식주 등 필수재 물가수준도 체감물가를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우리나라의 과일·채소·육류 가격 수준은 OECD 평균의 1.5배 이상이며 우유·계란·빵 등의 가공식품도 평균보다 높은 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한은은 지난달 29일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저성장세를 반영한 통화정책을 추진해도 내수 진작에 속도가 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소득 계층간 인플레이션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도 가중되는 상황까지 더해져 전반적인 소비 진작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생활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체감물가가 높은 수준이 지속되면 중장기적 관점에서 물가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공급충격 완화를 위한 원재료 수입선 다변화, 생활물가 안정을 위한 할당관세 등을 통해 취약가계의 부담 완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이날 보고서 관련 기자설명회 현장에서 "코로나19 이후 '고인플레이션기'를 거치며 높아진 물가수준이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구조개혁을 통한 근본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소비 진작과 민생지원을 위한 정부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과 관련해선 "당정의 추경안 내용을 보지 못해 그에 대해 평가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추경이 물가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오래전부터 생각해왔다"고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