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환경재단, 내시경 조사, 갈대습지 입구~장전보 구간 대규모 서식지 국내 첫 발견
안산갈대습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붉은발 말똥게’의 대규모 서식지가 국내 최초로 발견됐다.
이에 따라 시화호 상류에 조성된 안산갈대습지 생태계가 건강한 상태임이 입증됐다.
22일 안산시와 안산환경재단 등에 따르면 안산환경재단은 최근 내시경 조사기를 활용한 현장 관찰과 서울대 연구팀과의 공동 조사 등을 거쳐 안산갈대습지 입구부터 장전보 구간까지 약 600m 구간에 걸쳐 붉은발 말똥게와 말똥게가 집단 서식 중인 것을 확인했다.
붉은발 말똥게는 서·남해안 하구 주변 습지나 숲 등지에서 서식하는 사각게과(Sesarmidae)의 게로 서식지 훼손과 환경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놓였다.
국내를 비롯해 타이완과 일본, 중국, 동남아, 파푸아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사모아, 마다가스카르 등 태평양과 인도양의 해안에 주로 분포하고 있고 말똥 냄새가 나는 말똥게 중 다리가 붉어 붙은 이름으로 알려졌다.
현재 연구가 되지 않아 생태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갑각길이가 약 28㎜ 가량인 붉은발 말똥게는 너비 33㎜ 안팎으로 사각형의 갑각과 볼록한 등면 그리고 흙갈색 털이 덮인 걷는다리, 붉은빛을 띤 갑각 앞부분과 집게다리가 특징이다.
그동안 주로 한강 하구와 시흥갯골, 서·남해 일부지역과 제주도 등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그동안 알려져 왔다.
안산갈대습지 내 붉은발 말똥게는 최대 500여개체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는 붉은발 말똥게가 시화호 유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수도권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서식지라고 밝혔다.
특히 시화호 최상류가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동화천과 인접해 염분이 낮은 진흙 지형과 넓은 갈대 군락이 형성돼 있어 붉은발 말똥게의 먹이활동과 은신에 적합한 최적의 서식 환경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민근 시장은 “붉은발 말똥게는 연안 개발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멸종위기종”이라며 “이번 서식지 발견은 시화호 최상류와 안산갈대습지가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임을 입증해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서식지 보전 뿐 아니라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조사 및 연구와 함께 생태계 보호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