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5 (토)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인천 ‘트럼프發 관세폭탄’ 中원료 대체 등 대응…“공장 미국 이전 지원 대책 필요”

19일 인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트럼프 2기 출범, 인천지역 기업의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이세원 관세사가 주요 품목별 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김샛별기자
19일 인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트럼프 2기 출범, 인천지역 기업의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이세원 관세사가 주요 품목별 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김샛별기자

 

인천의 자동차·반도체·바이오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미국 수출 악화가 현실화(경기일보 2월17일 1면)한 가운데, 인천지역 경제계가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중국산 원재료 사용 비중 축소 등 공급망을 다양하게 갖추는 자구책과 함께, 정부나 인천시 등에 미국으로의 생산 부지 이전에 따른 지원책 마련 등을 건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상공회의소는 19일 ‘트럼프 2기 출범, 인천지역 기업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2025 경제 전망 세미나를 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입차단,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생산기지 이전 요구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현재 인천은 중국에서 원료 및 중간재를 수입해 전기차와 배터리 등을 만든 뒤 완제품을 미국에 수출한다. 하지만 중국 견제 기조인 트럼프 정부가 이를 중국물품 우회 수출 경로로 보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을 요구할 확률이 높다.

 

이세원 띠아모 관세사무소 대표관세사는 “미국의 중국 견제 보복 관세는 수출국이 아닌 원산지에 따라 부과하는데, FTA 규정을 충족하더라도 미국 기준으로 원산지를 중국이라고 판단하면 보복 관세 부과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산 원재료 사용 비중을 축소하는 등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한다”며 “미국 관세청에서 사전 심사 제도를 운영 중이니 보복관세 부과 대상인지 미리 판정받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관세부과로 미국 생산기지 조성 압력이 높아질 것인 만큼 정부 및 지자체와 함께 장기적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봤다. 이 관세사는 “반도체나 자동차 업계 등에 미국으로 생산 부지를 옮기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이전을 해야 한다면 정부 등이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 소규모 기업들이 체계적으로 움직이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일본처럼 인허가 지원, 규제 컨설팅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내수 기업과 수출 중심 기업이 각각 상황에 맞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수출기업은 합리적 수출 및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내수 기업은 경쟁국 기업의 국내 침투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율 변동 등 시장 지표의 변동성 급증에 대한 리스크도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