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오산 금암동에 위치한 9기의 바둑판식 고인돌이며 덮개돌은 땅 위에 드러나 있지만 하부구조는 흙 속에 묻혀 있어 자세하게 알 수 없다. 고인돌 가운데 규모가 큰 것은 덮개돌의 길이가 6m 정도이다. 덮개돌의 윗면에 수직으로 파인 알구멍 성혈(性穴)이 있는 고인돌(2호 고인돌)이 있는데 구멍의 파인 모양으로 보아 쇠붙이를 이용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알구멍은 풍년을 빌거나 자식 낳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만들었다고 하지만 정확하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문화재청 제공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