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농업용 수자원 관리를 위해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와 지자체로 나눠진 수리시설물 관리의 일원화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농어촌공사(사장 박재순)와 농어촌물포럼(위원장 김태철)은 27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제3회 수자원 국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특강을 한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은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어촌 용수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며 “농어촌 용수 관리 체계의 일원화로 시설관리의 전문화와 비용부담의 형평성을 조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현재 전국 수리답 77만2천㏊ 중 51만7천㏊(67%)는 농어촌공사가, 25만4천㏊(33%)는 지자체가 관리하고 있다. 이 중 10년 이상 가뭄에 견딜 수 있는 수리안전답 비율이 지자체 관리는 26%, 공사 관리는 91%로 격차가 큰 실정이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효율적인 물 관리와 재해예방을 위해 노후화된 시설물의 개보수와 이를 위한 재정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석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국 농업용 수리시설물 중 57%가 30년 이상 경과한 노후시설이며, 용배수로 중 용수로는 50.2%, 배수로는 72.9%가 토공수로로 돼 있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수리시설 개보수와 시설현대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