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삼포세대, 거마대학생, 신빈곤층 등장 등 경제 신조어는 경제적 성장을 겪어보지 못한 세대의 현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사업으로 사회적기업을 내세우며 자금, 인력, 홍보 등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2006년 말부터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하고 2007년 7월1일 시행, 2011년 12월 기준으로 644개의 사회적기업이 유지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이미지의 향상을 떠나 세계의 흐름이 되고 있다. 하지만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그 존폐가 거론 될 만큼 많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먼저 정부의 육성정책에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는 사회적기업의 일차적 목적이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에 맞춰져있다. 사회적기업의 본질적 목적은 사회 문제의 해결이다.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 일거리는 대부분 가장 기본적이고 쉬운 반복 소일거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일자리 제공이 취약계층에만 맞춰져 있다 보니 활동성 있는 전문 인력이 부재하고 사회적기업의 최종 목표가 자립이 되어 버린 것이다.
정부가 사회적기업에 대해 가장 간단하고 보기 좋은 통계치로 목표를 세우는 것도 문제이다. 정부는 올해까지 1천개의 사회적 기업을 육성해 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적의 수량화는 보기만 좋은 떡이다.
2010년 사회적기업 491곳 중 영업이익을 낸 곳은 71곳으로 전체의 14.4%에 불과하다. 지난해 말 30여개 사회적기업의 보조금 지급도 중단됐다.
경영컨설팅 관련 전문가들은 많은 사회적기업이 기초 경영, 전문지식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내실이 부족하다 보니 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커진다. 정부지원이 줄어드는 2, 3년 뒤에 이윤 창출을 하기가 힘든 것이다.
사회적기업이 위기 속의 기회를 잡으려거든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야한다. 대부분의 사회적기업들이 소비자의 양심과 동정에 그들의 상품을 호소한다.
사회적기업의 타겟 또한 일반 기업과 다를 바 없는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구매자이다. 소비자들의 1차 목적은 좋은 질의 물건과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는 것이다. 여기에 사회적으로 좋은 취지의 상품을 구입하는 만족감까지 줄 수 있는 것이 사회적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의 ‘착한 판매, 착한 소비’는 매우 좋은 취지이다. 하지만 그것이 실로 착해지려거든 의지만으로는 힘들다. 경영 목표가 뚜렷하고 관련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어야한다. 똑똑해져야한다. 사회적기업은 사회의 부족한 부분이 충족 될 수 있는 충분한 존재가치를 만들어야 한다.
김성철 ㈔인천산업진흥협회장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