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옛 모습 - 평택시 (상)

비옥한 평야와 삼도의 교통 중심지로 살기 좋은 평택시

경기도 서남단에 아산만과 접해 있는 평택시.

1995년 평택시·평택군·송탄시가 하나로 통합되어 평택시가 됐다. 넓고 비옥한 평야지대를 이루어 농업 중심지역이 되었다. 또한 서울에서 1시간 거리인 교통의 요지로서 조선시대부터 뱃길이 뚫린 삼도의 요충지라고 불렸으며 6·25전쟁 이후 미군이 주둔하면서 서정동과 신장동을 중심으로 상업·위락 도시로 발전했다.

평택시 대부분은 옛 진위·양성현의 남부였으며, 옛 평택현의 일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곳.

평택시 진위면을 흐르는 진위천은 차령산맥의 말단부에 해당하여, 시의 전체적인 지세는 용인시와의 경계를 이루는 북동부산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50m 내외의 낮은 구릉지와 넓은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다. 북동부에는 무봉산(209m), 북서부에는 덕지산(138m)·무성산(112m), 통합 이전 평택시와 송탄시였던 동부에는 불악산(151m)·덕암산(165m)·팔용산(132m), 남쪽에는 고등산이 솟아 있으며, 서쪽은 봉화재(112m)가 있을 뿐 서해에 면하고 있다.

주요하천으로 안성천·진위천·발안천·둔포천 등이 있다.

서해안의 영향으로 비교적 기온의 연교차가 작은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기온은 12.3℃ 내외, 1월평균기온은 -2.3℃ 내외, 8월평균기온은 26℃ 내외이다.

{img5,C,000}

평택시는 1980년대 이후 유입인구로 시가 급격히 팽창했다.

시로 승격된 1986년에는 7만2천693명, 1990년 7만9천238명으로 1980~90년에 30%의 증가율을 보였다. 통합 이후인 1996년에는 32만1천383명으로, 1990~96년에는 인구가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경부선이 동부지역을 남북으로 통과하여 서울과 대전 방면으로 연결된다. 북동부에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며 안성시와의 경계에 있는 안성 인터체인지를 통해 차량출입이 가능한 교통 요충지다.

/평택=최해영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