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상공인의 부스 참여 비율을 70% 이상으로 확대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쿠폰, 골목 공연 등 상권 연계 콘텐츠 개발 유동인구·매출 등 데이터 수집 및 분석보고서 작성
구리의 대표축제인 ‘유채꽃 축제’와 ‘코스모스 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취지에도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용현 구리시의원(국민의힘)은 13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축제의 효과, 운영 공정성, 예산 투명성 문제를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축제가 관광객 유치를 통해 지역 상권을 살리겠다는 목적으로 시작됐지만, 오히려 지역 상인들에게 손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광객 소비가 축제장 내 부스에 집중되며, 지역 상권으로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미비하다”며 현 구조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특히 시가 축제 후 상권 매출 변화나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지 않고, 카드 매출이나 상인 설문 등 정량적 자료도 확보하지 않아 효과 검증이 불가능하다고 비판했다.
또한 시가 시도한 ‘스탬프 투어’와 같은 상권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가 저조하고, 동선 유도나 소비 유입 전략도 부족해 축제의 본래 취지가 퇴색됐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축제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축제 운영의 공정성과 투명성 문제도 제기했다. 그는 “기획사, 음향·무대 업체 선정 기준과 절차가 불투명해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시민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지난 축제에서 발생한 전광판 고장, 무대 화재, 인파 통제 실패 등 안전 문제에 대한 사후 책임이나 감사 결과가 공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구리시 조례에 따르면 축제 관련 감사가 매년 1회 이상 의무화돼 있으나, 해당 부서가 이를 이행했는지 불분명하다.
김용현 의원은 “보조금 특성상 결산보고나 외부 감사 의무가 없고, ‘지방보조금 관리 조례’ 제30조의 공시 의무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매년 수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축제 운영 체계의 전면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구리 상권 활성화와 지역 발전이라는 축제의 취지에 공감한다”면서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시민 신뢰를 얻고,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축제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