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가 30년의 풀뿌리 지방자치의 기치를 가슴에 새기고 앞으로 100년의 기적을 향해 인천시민과 함께 달려가려 한다.
지난 1961년 5·16 군사쿠데타로 지방의회가 해산한 이후 이어진 험난한 여정에도 불구하고 인천시민들은 지치지 않고 오히려 더욱더 견고하게 민주주의를 그리고 지방자치를 지켜냈다.
시민과 함께 인고의 시간을 견뎌내고 마침내 지방의회가 해산한지 30년 만인 1991년 7월8일 지방자치 부활과 함께 제1대 인천시의회가 개원을 맞이했다. 그리고 지난 30년간 끊임없는 도전과 응전을 통해 발전해온 지방자치는 ‘우리 삶을 바꾸는 자치분권’이라는 비전 아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오랜 기다림 끝에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인천시의회는 지방의회 부활 30주년을 맞아 다시 옷깃을 여미고 오직 시민들만 바라보며 묵직한 걸음을 이어나가고자 한다.
무엇보다 내년 지방자치법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자치분권 2.0 시대’의 핵심과제인 자치경찰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꼼꼼히 살펴나가겠다. 처음 추진하는 제도인 만큼 위원 선정 단계부터 시범 추진과 본격 추진까지 시행착오나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그럼에도 시민안전과 행복을 위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려 한다
또 제8대 인천시의회는 항상 초심으로 ‘겸손하게 소통하고 시민이 공감하는 의회’ 구현을 위해 시민들만 바라보며 전진하고 있다. 올해는 시민들에게 보답하는 한해로 만들어가고 있다. ‘민생안전과 경제회복’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 민생경제의 빠른 회복과 동시에 인천의 미래를 열어갈 든든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아울러 지방의회 부활 30주년을 맞아 ‘함께한 30년, 새로운 100년’의 역사를 시민들과 함께 써내려가고자 한다. 새로운 역사를 쓰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이제까지 우리 인천이 걸어왔던 길과는 전혀 다른 길이기에 외로운 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인천시의회는 역사 앞에 당당해지고자 한다. 그 첫걸음으로 인천시민 86% 이상이 찬성하는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 선언을 했다. 이는 더 이상 물러날 수도 결코 돌이킬 수도 없는 인천시민의 간곡한 외침이자 간절한 호소다.
서울과 경기의 쓰레기를 받지 않는 것을 넘어 ‘쓰레기 처리 도시’라는 오명을 벗고 자원순환 모범도시로 탈바꿈함으로써 후손들에게 ‘친환경특별시 인천’의 새로운 역사를 물려주고자 함이다.
앞으로도 인천시의회 37명의 의원들은 한마음 한뜻으로 오직 시민만 바라보며 새로운 100년을 향해 더욱더 힘차게 도약해 나갈 것을 다시 한번 굳게 약속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