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공동체 의식 실종이 낸 방역 구멍] ③코로나19 종식 위해선 공동체 의식 확산 절실
인천 공동체 의식 실종이 낸 방역 구멍

[공동체 의식 실종이 낸 방역 구멍] ③코로나19 종식 위해선 공동체 의식 확산 절실

지자체 방역기준 강화 병행

겉잡을 수 없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범국민 차원의 공동체 의식 회복이 절실하다. 지방자치단체의 비대면 여가활동 장려와 방역 구멍에 대한 핀셋 규제 등 방역망의 재점검도 함께 이뤄져야한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1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전국의 코로나19 확진자가 1천명을 넘어섰다. 확진자 증가세에도 여전히 곳곳에서는 공동체 의식이 사라진 개인의 일탈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화상 프로그램을 이용해 집안에서 취미를 즐기는 ‘홈하비(Home Hobby)’ 확산이 대표적이다. 이번 연말 계양구가 추진하는 ‘온라인 송년회’처럼 오프라인에서 하던 활동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도록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다.

온·오프라인을 불문한 코로나19 피해 상황의 심각성 홍보 역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생활 곳곳에 마주하는 홍보물이 ‘잔상효과’를 불러와 방역에 대한 올바른 시민의식을 갖도록 한다는 것이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SNS 등을 통해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지속해서 노출해 위기의식을 제고하고 실내에서도 충분히 취미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우쳐줘야 한다”며 “공동체 의식을 내재화하려면 지자체와 미디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지자체의 방역 허점 재정비와 경찰의 적극적인 방역 참여도 강조했다. 지자체는 호텔, 야외체육시설 등 사각지대에 놓인 업종에 대한 세부 규정을 세우는 등 핀셋 규제에 나서고 경찰 역시 방역 위반에 대한 엄격한 통제와 처벌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공동체 의식이 사라진 각자도생 시대에 와있는 현 상황에 공권력의 통제는 불가피하다”며 “근본적인 계도가 어려운 시민들에겐 사복 입은 구청 직원보다 제복 입은 경찰의 존재가 더 확실한 개선책일 것”이라고 했다.

강우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