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29 시흥시장 보궐선거를 관통했던 유권자들의 바람과 지역 정서를 한마디로 표현한 말이다. 여기에는 역대 민선 시흥시장들이 부패에 연루돼 모조리 사법처리되는 것을 지켜 보면서 느꼈던 좌절감에서 벗어 나길 바라는 시민들의 희망도 고스란히 배어 있다.
‘민선 시흥시장=사법처리’라는 학습을 더 이상 하지 않토록 해달라는 시민들의 간절한 염원도 담겨져 있다.
이런 시민들의 기대와 설레임속에 김윤식 시흥시장(43·민주당)이 30일 취임식을 갖고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김 시장의 임기는 내년 6월30일까지 1년2개월에 불과하다.
김 시장 앞에는 전임 시장의 사법처리에 따른 시정 공백으로 현안사업이 산적해 있다. 때문에 물리적으로 선거 기간 동안 유권자들과 약속한 공약을 모두 이행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약 중 우선 순위를 정해 추진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한 법이다.
김 시장은 또 이번 보선의 투표율(19.77%)과 2위와의 표차(1천134표·2.03%)의 산술적 의미뿐 아니라 정치적 의미를 뒤새겨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박빙의 승부를 치르다 보니 고소·고발, 편가르기, 여론 분열 등 선거 후유증이 만만치 않다. 김 시장은 흐트러진 민심을 통합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모두 같은 시민이고 반대편의 도움 없이는 시흥발전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 시장은 보선출마 기자회견을 통해 “(전임) 시장과 그 측근들이 선거를 통해 부여해 준 지방권력을 자신들의 잇속을 챙기는데 이용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시민으로부터 나온 지방권력을 사적으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역설했다.
이런 약속이 실현되려면 김 시장 선거에 도움을 줬던 주위 사람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전제돼야 한다. 소신껏 일할 수 있도록 김 시장을 놓아 주고 이권개입과 인사청탁 등을 절대 하지 않을 때만 가능할 것이다. 그래야만 임기를 마친 성공한 시흥시장으로 남을 수 있다. 전임 시장들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된다. 시장 자신과 시흥의 미래를 위해서. /이동희 시흥주재 차장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