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낮 12시56분께 부천시 대장동의 한 비닐하우스에서 불이 났다. 이 불로 화훼용 비닐하우스 5개 동과 꽃 등 식물 등이 탔으며 인명피해는 없었다. 소방당국은 오후 1시17분께 소방서 인력 전체가 출동하는 경보령인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진화작업을 벌였다. 이어 큰 불길을 잡고 오후 1시36분께 대응 1단계를 해제했으며 화재 발생 40여분 만인 오후 1시43분께에 완전히 불을 껐다. 소방당국은 펌프차 등 장비 37대와 소방관 등 인력 97명 등을 화재현장에 투입했다. 소방당국은 현장 조사를 벌여 구체적인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 등을 조사 중이다.
부천 내동 일대 한 화장품 용기 코팅공장에서 불이나 1억 4천700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4일 부천소방서에 따르면 전날 19시 23분께 부천시 내동 일대 화장품 용기 코팅공장 3층에서 불이 났다. 이 불로 공장 내부에서 작업하던 근로자 16명이 건물 밖으로 자력 대피했으며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건물 1동 3층 380㎡ 일부가 불에 타고 컨베이어 방식의 자동 도장 기계 1점과 내부 집기 비품 등이 소실돼 1억4천700만원 상당(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가 났다. 소방당국은 신고를 받고 펌프 등 장비 22대와 인원 58명이 동원 출동해 내부 진입해 약 2시간 36분 만에 불을 껐다. 공장 관계자가 “도장작업 중 UV 램프가 꺼져 컨베이어 장치 가동을 중단했는데 화염기에서 화염이 플라스틱 용기에 분출돼 불붙은 용기가 떨어져 불이 났다.”라고 진술했다. 소방당국은 공장 관계자 등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부천의 한 병원에 입원 중이던 60대 환자가 이 병원 4층에서 떨어져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1일 부천오정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8분께 부천시 모 병원 4층 창문에서 60대 환자 A씨가 떨어졌다. 이 사고로 A씨가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던 중 숨졌다. 당시 한 시민은 “반대편 건물에서 사람이 떨어질 것 같다”고 119에 신고했다. A씨는 허리를 다쳐 이 병원에 입원한 상태였다. 경찰은 사고경위를 조사 중이다.
부천 이마트 중동점 부지에 복합시설 건립이 추진 중이나 기부채납액이 700억대로 예측되면서 빨간불이 켜졌다. 기부채납액을 공시지가가 아닌 실거래가로 적용하면 기부채납액이 2배로 뛰면서 시행사에 부담으로 작용돼서다. 1일 부천시와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이마트 중동점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우협)로 선정된 시행사인 ㈜알비디케이는 최근 해당 부지에 대해 용적률 상향을 위해 시와 협의 중이다. 해당 부지는 대지면적은 8천379.7㎡, 연면적 4만7천993.8㎡, 건폐율 71.96%, 용적률 387.67% 등으로 2000년 12월 착공해 2002년 3월 사용승인을 받고 현재 영업 중이다. 시행사 측은 해당 부지에 건폐율 79.5%(80% 이하), 용적률 999.7%(1천% 이하), 건축면적 6천661.8㎡, 연면적으로 지상 10만1천337㎡에 지하 5만2천961㎡ 등 총 15만4천298㎡ 등에 지상 59층·지하 5층, 주차면 1천437대 규모로 복합시설 건립을 추진 중이다. 해당 부지 는 중동지구 지구단위계획 일반상업지역으로 건폐율은 80% 이하, 기준용적률 600%, 허용용적률 800%, 상한용적률 1천% 등이다. 시행사가 상향 용적률을 적용해 건물을 지으려면 시와 용적률 상향 관련 기부채납액과 방식 등을 협의해야 하고 기부채납방식은 토지와 건축물, 토지+건축물, 현금 등 다양하다. 기부채납 토지 면적에 토지 감정평가액(㎡당 단가)을 곱해 기부채납 토지비를 산정한 뒤 이를 토대로 기부채납액을 산정한다. 해당 부지의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는 3.3㎡당 3천100만원이지만 관련 업계에선 통상시가는 공시지가의 약 2.5배로 예상해 3.3㎡당 8천만여원선으로 보고 있다. ㈜알비디케이도 늘어나는 용적률 대비 선에서 산출해 350억원의 기부채납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알비디케이는 이마트 중동점 입찰에서 인수금액으로 3천811억원을 제시해 우협으로 선정됐으며 3.3㎡당 1억5천만원선의 실거래가로 거래했다. 토지를 감정평가할 때 실거래가를 적용할 때는 ㈜알비디케이는 기존 분석과 달리 2배인 700억대 상당의 기부채납을 해야 한다고 봐야 한다. 감정평가사 A씨는 “감정평가법상 표준지공시지가가 기준이지만 실거래가가 있으면 이를 기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시행사로부터 본격적인 협의가 들어오면 최대한 유리한 방식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천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30대 엄마와 어린 자녀들이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1일 부천오정경찰서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29분께 부천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쓰러져 있던 30대 여성 A씨와 자녀 B양(3)·C군(6) 등을 A씨의 남편이 발견해 119에 신고했다. A씨의 남편은 “퇴근하고 집에 오니 가족들이 숨져 있었다”고 신고했다.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이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A씨와 자녀들은 방에 설치된 텐트에서 발견됐다. 이들은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 졌으나 숨졌다. 경찰은 이들의 사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시신 부검을 의뢰할 방침이다. 경찰은 유족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부천시가 공간복지 첫걸음으로 1기 신도시·원도심 재정비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조용익 시장의 공간복지 첫걸음을 내디뎠다. 27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부천시청 어울마당에서 ‘1기 신도시·원도심 재정비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정책토론회는 부천시 총괄기획가(MP)인 송하엽 교수(중앙대학교 건축학부) 좌장을 한상휘 주택국장, 김세훈 교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임미화 교수(전주대학교 부동산국토정보학과)가 발제자로 참여했다. 이날 발제된 주요 주제는 총 3가지로 ▲부천시 정비사업의 현황과 과제, ▲미래 1기 신도시 정비 방향, ▲노후계획도시 디지털트윈(현실세계의 기계·장비·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을 활용한 정비사업 방향이다. 패널로 참여한 김준형 일산 총괄기획가(MP), 장미진·김영민 부천시 공공건축가, 박현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공도시정비 처장, 서재군 경기주택도시공사(GH) 노후신도시 재정비지원단장이 토론을 벌였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1기 신도시와 원도심 재정비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 토론에서 논의했다. 실시간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시민들도 토론회에 참가했다. 주민 A씨는 “중동 신도시에 거주한 지 30년이 넘었는데, 본격적인 정비 이전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토론회가 마련돼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주민 B씨는 “중동 신도시의 정비도 중요하지만, 원도심이 소홀해지지 않는 계획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라며 “원도심의 정비에 대한 용적률, 기반시설 확충에 대한 방안도 세워주길 바란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조용익 시장은 “이번 정책토론회는 시 승격 50주년을 맞이해 시민과 함께 부천시 미래 100년을 이야기하는 첫걸음”이라며 “공간복지 개념을 도입한 광활한 녹지공간 조성과 쾌적한 주거공간을 포함한 균형 있는 도시 재정비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번 정책토론회에서 수렴된 다양한 전문가와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오는 3월 예정인 정비기본계획 용역 발주 시 활용할 계획이다.
부천문화원 제20대 원장에 권순호 현 원장이 연임됐다. 지난 24일 개최한 제58차 부천문화원 정기총회에서 임원선거규정 제29조에 따라 임원·회원들은 제20대 부천문화원장으로 권 현 원장의 연임이 결정됐다. 임기는 2027년 2월까지 4년이다. 권 원장은 “지난 2년간 각고의 노력 끝에 문화원의 이미지를 쇄신하고 그 노력의 결실을 어느 정도 맺게 됐다고 생각하니 뿌듯하다”며 “그러나 올해부터 다시 노력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노력이 수포가 될 수 있기에 지난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각오를 새롭게 다지도록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2023년 부천문화원에서는 부천시 승격 50주년 기념사업과 5만 문화 벨트 네트워크 협력을 통해 부천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나아가 부천의 문화관광자원을 새롭게 가공해 스토리텔링의 토대를 구축, 부천의 도시 이미지를 재정립하는 데 열정을 아끼지 않겠다”고 부천문화원 로드맵을 제시했다 한편 권 원장은 지난 임기 동안 부천문화원은 ▲우휴모탁국 학술대회 ▲생활사 아카이브활성화사업 ▲향토역사안내 택시, 문화탐사대 활동가 육성 등 부천의 역사와 마을 이야기를 담아내기 위한 활동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천시가 신축 이전으로 용도가 폐지된 옛 부천소사경찰서 터를 지역 내 국가소유 재산과 맞교환한다. 시는 이 조치가 성사되면 옛 부천소사경찰서 터를 복합문화 및 실버, 청소년 중심 공간 등으로 조성한다. 23일 부천시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유휴·저활용 국유재산(국유지) 매각·활용 활성화방안을 마련한 가운데, 시는 청사의 옥길동 신축이전으로 용도가 폐지된 송내동 601번지 등 7필지 토지 9천653㎡ 173억원과 건물 6천327㎡ 14억원 모두 187억원의 옛 부천소사경찰서 부지에 대해 지역 내 국가기관(경찰청)이 점유·사용 중인 재산과 교환을 신청했다. 시가 부천소사경찰서 부지와 교환할 국가재산은 ▲원미동 57번지 363.1㎡ 공원(원미지구대) ▲송내동 352-1·2번지 442.9㎡(송일치안센터) ▲심곡본동 534-8번지 104.2㎡(경제범죄수사대) ▲원종동 233-11번지 381.5㎡(원종지구대) ▲오정동 578-6번지 103.6㎡(오정치안센터) ▲작동 406번지 1천277㎡(성곡파출소 신축희망) 내동 10-2번지 489.8㎡(내동지구대 신축희망) ▲옥길동 789번지 4천992.3㎡(남부천세무서 신축희망) ▲여월동 8-36번지 138.6㎡ (성곡파출소) 등이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지자체 재정부담 완화차원에서 시와 맞교환 신청을 수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6월까지 기재부와 국·공유재산 교환협의를 마친 후 10월까지 국·공유재산 교환계획을 수립하고 연말까지 중기공유재산관리계획 및 내년 정기분 공유재산관리계획 반영, 국·공유재산 교환 등을 이행한 뒤 내년 6월까지 공간 활용방안 수립 및 리모델링 설계용역 등을 마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부천소사경찰서와 기획재정부, 한국자산관리공사 등과 10여차례 협의해왔다. 해당 터가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천 상동의 한 아파트 1층에서 불이 나 주민 8명이 다쳤다. 23일 부천소방서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46분께 부천시 상동 일대 지상 19층짜리 아파트 1층에서 불이 났다. 이 불로 아파트 주민 8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주민 61명은 자력 대피했으며 16명은 소방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또 아파트 1층 내부 60㎡와 집기 등이 불에 타 8천145만원 상당의 재산피해(소방서 추산)가 났다. 주민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펌프차 등 장비 39대와 소방관 82명 등을 투입해 22분만에 불을 껐다. 소방당국은 “소유자가 거실에서 에탄올 화로에 에탄올을 보충하고 라이터로 불을 붙이는 순간 화염이 발생했다”는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원인을 조사 중이다.
21일 오후 8시6분께 부천시 내동 일대 화장품 관련한 공장 3층에서 불이 났다. 이 불로 공장 내부 작업자 3명 중 2명은 자력으로 대피하고 1명은 옥상으로 대피해 출동한 구조대에 구조됐다. 건물 그을림과 스핀들 등 설비가 일부 소실돼 7천370만원 상당의(소방서 추산)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신고자는 공장 관계자로 설비기계 아래서 불꽃이 보여 다른 작업자가 수동식 소화기로 자체 진화를 시도했지만 실패해 신고한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펌프와 헬기 등 장비 25대와 인원 54명이 출동해 약 1시간12분 만에 불을 껐으며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