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551면 중 민원인은 고작 14면만… 오산시청 주차장 공무원이 ‘독점’
지역사회 오산시

551면 중 민원인은 고작 14면만… 오산시청 주차장 공무원이 ‘독점’

공무원·장기주차 주민 97% 차지... 주차공간 부족한데 요금폭탄까지
市 “주차 공간 확보 다각적 검토”

image
공무원들이 출근을 마친 21일 오전 9시10분께 오산시청 부설주차장 모습. 강경구 기자

 

오산시청 부설주차장이 사실상 공무원 전용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오전 9시10분께 오산시청 부설주차장. 지하주차장(108면)은 이미 만차됐고 지상(443면)의 여유 공간은 14면밖에 남지 않았다. 전체 주차면수(551대)의 97%(537대)를 공무원과 장기주차 주민이 독점한다는 반증이다. 민원인은 최초 1시간 무료라고 하지만 허울 좋은 배려라는 지적이 나온다.

 

시와 시설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공단에 지난달 한 달(20일)간 4천원 이상 주차요금을 낸 건수는 총 2천701건으로 파악됐다. 이 중 410건은 12시간 이상 주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주민 차량 135대가 5시간 이상 주차했고 이는 전체 주차면 수(551대)의 25%에 해당한다. 

 

주민은 하루 주차요금으로 4천원을 내는데 다음 달부터는 9천원을 내야 한다. 공무원들은 월 1만원의 정기권(하루 400원)을 이용하는데 현재 510여명이 정기권을 발급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민은 하루 4천원, 공무원은 400원만 내면 종일 주차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관용차량(75대)도 무료로 이용해 민원인 주차공간은 절대적으로 적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서 주차난이 고착화됐고 공무원 차량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시는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하루 주차요금을 125%(4천원→9천원), 공무원 정기권을 50%(1만원→1만5천원) 인상안을 추진했지만 공무원노동조합 등의 반대로 공무원 정기권 인상은 동결했고 주민 요금만 125% 인상해 다음 달 1일부터 적용키로 해 형평성 논란(경기일보 21일자 1면)이 일고 있다.

 

한모씨(40‧오산시 중앙동)는 “공무원과 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시청 주차장을 공무원들이 독점하는 건 대단히 잘못됐다”며 “공무원들이 주차면 일부분을 민원인에게 양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민원인 주차 공간 확보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해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